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술가 명성(fame)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99

영문명
The Making of Artistic Fame: The Case of Korean Handicraft Artists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최영신(Youngshin Choe) 현은정(Eunjung Hyun)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1권 제2호, 141~17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예작가들을 대상으로 예술가 명성(artistic fame) 형성의 주요요인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명성이란 행위자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는 것을 의미하며, 평판은 사회적 평가 (social evaluation)의 일종으로, 행위자에 대한 평판은 평가의 주체에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자들은 먼저 이러한 선행연구를 통해 평판과 명성의 관계를 정립하고, 11명의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국내 공예작가의 명성 형성에 대해 탐색하였다. 질적 연구를 통해 국내 공예작가의 명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전문가 평판(expert reputation), 시장 평판(market reputation), 동료 평판(peer reputation)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가 개인의 평판을 위한 노력(reputational work)도 명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명성과 평판, 평판, 노력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위에 제시된 세 종류의 외부 평판과 작가자신의 평판 노력이 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어, 작가의 출신 학교에 따른 차이점에 주목한다. 국내 340명의 공예협회등록 작가를 대상으로 개개인의 프로필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련 변수를 측정하여,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을 회귀분석을 통해 실시한결과, 엘리트 대학(서울대, 홍익대) 출신 그룹에서는 기관 경력에 기반한 동료 평판과 ‘김달진 미술연구소’ 사이트 프로필 게재와 같은 작가의 노력이 중요한 명성 형성 요인임이 밝혀졌다. 반면, 비 엘리트 그룹에서는 공신력, 영향력, 인지도가 바탕이 된 전문가 평판 (i.e., 수상경력), 시장 평판 (i.e., 초대전 경력), 그리고 자비로 개최한 개인전의 횟수가 명성 형성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we explore how artistic fame is formed by analyzing antecedents of fame the extent to which the name of an actor or his/her work is positively known by his/her audiences among Korean handicraft artists. Drawing on prior literature on reputation and fame, we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cept of reputation and the concept of fame and further distinguish three types of reputation among individual artists, depending on its sources expert reputation, market reputation, and peer reputation. We employ the mixed method in this study, in which we first conducted open-end interviews with three kinds of constituents (i.e., critics, market intermediaries, and artists) and then developed and tested the hypotheses derived from the insights we had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We further considered the impact of reputational work, defined as the level of effort devoted and activities performed by an artist him(her)self geared toward promoting his(her) work, on artistic fame. We find that there are large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artistic fame between non elite and elite Korean handicraft artist groups, where elite status is captured by artists’ educational background (i.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which are considered elite schools in accordance with prior research). Specifically, findings suggest that among non elite status artists, recognition by experts, or what we call expert reputation, acquired through national awards and invitations from prominent exhibitions as well as artists’ own reputational work that incurs high cost, such as self-financed exhibition openings, were shown to be highl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artistic fame, which was measured as the number of media exposures related to her/his art work. By contrast, among elite status artists, peer reputation acquired through an artist’s institutional affiliations and relatively low cost artists’ own reputational work, such as self listing on a highly publicized magazine,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fame. Taken together, this paper contributes to research on cultural industries and markets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rtistic fame not just as the outcome of her/his talent but as the social product that arises at the intersection of actors (artists) and her/his audiences in the social evaluation proc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토 론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신(Youngshin Choe),현은정(Eunjung Hyun). (2018).예술가 명성(fame)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21 (2), 141-173

MLA

최영신(Youngshin Choe),현은정(Eunjung Hyun). "예술가 명성(fame)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21.2(2018): 141-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