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고관리성과 측정을 위한 재고관리효율성 연구

이용수 280

영문명
A Study on Inventory Management Efficiency to measure Inventory Management Performance*
발행기관
한국생산관리학회
저자명
김길환(Gilwha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생산관리학회지』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32卷 第1號, 47~6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연적 변동요인이 제거된 새로운 방식의 재고관리성과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소매업 및 관련 업종에 속하는 40개 기업의 2000~2018년 자료를 선택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산경제(Production Economy)이론의 기술적 효율성(Technical Efficiency) 개념을 차용하여 재고관리효율성(Inventory Management Efficiency)이라는 새로운 성과지표를 정의하였고, Gaur 등(2005)에서 제시된 재고회전율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과 재고회전율과의 관계가 승법적(Multiplicative) 형태로 표현된 재고회전율함수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재고관리효율성을 적절히 정의하기 위해 요구되는 주요 조건을 재고회전율함수가 만족하고 있는지 면밀히 검토하였고, 재고관리효율성의 추정을 위해 우연적 변동과 재고관리효율성을 구분할 수 있는 모수적 방법으로 확률변경분석(Stochastic Frontier Analysis)을 적용하였다. 또한 재고관리효율성의 추정을 위해 설정된 연구모형의 타당성 여부를 살펴보았고 재고관리효율성항의 통계적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된 재고회전율함수는 ‘명확히 정의된’ 함수이며 재고관리효율성은 알맞게 정의된 재고관리성과 지표이다. 둘째, 재고관리효율성은 통계적으로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최대 재고회전율 수준과 비교했을 때 분석대상 기업들의 실제 재고회전율 수준은 평균적으로 약 64.3% 수준에서 결정되고 있다. 한편 본 연구는 기술적 효율성의 개념을 차용한 새로운 지표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시사점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재고관리효율성 및 방법론을 적용함으로 실무관리자들은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평가될 수 있는 기업의 상대적 재고관리성과 또는 능력을 분석할 수 있으며 재고관리 개선을 위해 참고할 만한 타 기업을 찾아낼 수도 있다. 이러한 측면이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We develop a new indicator for measuring inventory management performance where the random variation factor is eliminated. To this end, we conduct an analysis on a sample of 40 Korean retailers from 2000 to 2018. Specifically, we define inventory management efficiency (IME) as a new performance indicator by applying the technical efficiency concept based on production economy theory. Then, we establish the inventory turnover function,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tory turnover and the main factors that determine it, are expressed in a multiplicative form. In addition, we carefully examine whether the inventory turnover function satisfies the regularity conditions required for a proper definition of IME which we estimate via a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enabling random variation factors to be isolated from IME. We further examin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n confirm whether IME statistically exists. Our evidence suggests that the inventory turnover function established is ‘well defined’ and IME is an adequately-defined indicator for measuring inventory management performance. We further find that IME statistically exist. Finall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ctual inventory turnover level is determined at around 64.3% on average, relative to maximum inventory turnover level.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재고회전율함수와 재고관리효율성
Ⅳ. 연구모형
Ⅴ. 변수의 정의와 분석자료
Ⅵ. 분석결과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길환(Gilwhan Kim). (2021).재고관리성과 측정을 위한 재고관리효율성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2 (1), 47-67

MLA

김길환(Gilwhan Kim). "재고관리성과 측정을 위한 재고관리효율성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2.1(2021): 47-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