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우분뇨 퇴비화시설에서의 미세 입자상물질 발생 주요인자 분석

이용수 75

영문명
Analysis of Major Factors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Hanwoo Manure Composting Facilities
발행기관
유기성자원학회
저자명
정광화(Gwang-Hwa Jeong) 박회만(Heo-Man Park) 이동준(Dong-Jun Lee) 김중곤(Jung-Kon Kim) 이동현(Dong-Hyun Lee) 김다혜(Da-Hye Kim)
간행물 정보
『유기물자원화』제28권 제4호, 53~6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공학 > 환경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우를 전문으로 사육하는 전업농가의 퇴비사에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 그리고 미세먼지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단순퇴적식 퇴비화시설(T1)과 기계교반식 퇴비화시설(T2, T3)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단순퇴적식 퇴비단(T1)의 경우 최고온도가 46℃를 기록하였고, 2곳의 기계교반식 퇴비화시설들(T2, T3)에서는 각각 63℃와 68℃까지상승하였다. T1에서의 PM2.5 농도는 15 ㎍/㎥ 수준이었고 T2에서는 PM2.5 농도가 5~10 ㎍/㎥ 내외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T3에서는 PM2.5의 농도가 10 ㎍/㎥ 이하의 수준이었다. T1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최고농도는 4 ppm이었으나황화수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T2에서는 암모니아 농도가 최고 3 ppm 수준이었으나 황화수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T3의 암모니아 최고농도는 4 ppm을 나타낸 반면에 황화수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T3에서는 교반기가 퇴비를 교반하는지점에서의 암모니아 농도가 65 ppm까지 상승하였다. 퇴비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초기에 9.06이었던 퇴비단의pH가 퇴비화기간을 거치면서 8.94로 낮아졌다가 다시 9.14 수준으로 상승하였다. 염분(NaCl)농도는 퇴비화가 진행된이후에 0.09% 수준이었다. 수분함량은 65.9% 수준에서 62%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총고형물 중에서 휘발성고형물(Volatile Solids)이 차지하는 비율은 퇴비화 초기에 65.6%에서 퇴비화후기에는 64.7% 낮아졌다. 퇴비화 초기에 1.327% 수준이었던 TKN 함량도 퇴비화를 거치면서 1.095%로 낮아졌다.

영문 초록

The concentrations of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fine dust were measured in the compost facility of a full-time Hanwoo breeding farm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stack type composting facility(T1) and mechanical-stirred composting facilities(T2, T3). In the stack type composting facility, the highest temperature of compost pile was 46°C, and in the two mechanical-stirred composting facilities, it rose to 63℃ and 68℃,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PM2.5 at T1, T2 were 15 ㎍/㎥ and 5~10 ㎍/㎥, respectively. And the concentration of PM2.5 at T3 was below 10 ㎍/㎥.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ammonia generated at T1 was 4 ppm, but no hydrogen sulfide was detected. The ammonia concentrations at T2 and T3 were 3 ppm and 4 ppm, respectively. However, hydrogen sulfide was not detected in both facilities. At T3, the ammonia concentration increased to 65 ppm at the point where the compost was stirred with a mechanical agitator. During composting period, the pH of the compost pile decreased from 9.06 to 8.94 and then increased to 9.14 as the composting period elapsed. The NaCl content of compost was 0.09% after composting process was complete. Moisture content of compost decreased from 65.9% to 62% as composting progressed. As composting proceeded, the content of volatile solids decreased from 65.6% to 64.7% and the content of TKN decreased from 1.327% to 1.095%.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광화(Gwang-Hwa Jeong),박회만(Heo-Man Park),이동준(Dong-Jun Lee),김중곤(Jung-Kon Kim),이동현(Dong-Hyun Lee),김다혜(Da-Hye Kim). (2020).한우분뇨 퇴비화시설에서의 미세 입자상물질 발생 주요인자 분석. 유기물자원화, 28 (4), 53-68

MLA

정광화(Gwang-Hwa Jeong),박회만(Heo-Man Park),이동준(Dong-Jun Lee),김중곤(Jung-Kon Kim),이동현(Dong-Hyun Lee),김다혜(Da-Hye Kim). "한우분뇨 퇴비화시설에서의 미세 입자상물질 발생 주요인자 분석." 유기물자원화, 28.4(2020): 5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