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옥산 - 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이용수 12

영문명
Flora and Vegetation of the Southern Slope Area at Mt. Chongok and Mt. Tuta(Kangwon-do
발행기관
한국자원식물학회
저자명
조창구 백원기 이우철
간행물 정보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12권 제3호, 240~252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조사는 1996년 5월과 8월, 1997년 4월에 청옥산과 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관속식 물상과 식생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기발표된 북사면의 식물상과 식생을 비교\ulcorner분석하는 동시에, 본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과 식생을 재검토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청옥산과 두타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100과 358속 573종 95변종 18품종으로 총 686종류로 나타났으며 양치식물계수(Pte-Q)는 1.13이었다. 남사면은 87과 287속 419종 73변종 11품종, 총503종류이며 북사면은 94과 293속 427종 73변종 12품종, 총512종류으로 양쪽 사면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류는 332종류이고 남사면에 만 분포하는 종류는 172종이며 북사면에만 182종류가 분포하였다. 과 내의 종 다양성은, 가장 많은 분류군이 포함된 상위 11개 과에 속하는 분류군의 수가 328종류로 전체의 47.8%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장 높은 종다양성을 보이는 과는 국화과였고 다음으로는 장미과였다. 조사된 686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16과 24속 20종 8변종 2품종, 총 30종류로 이는 전체 식물의 4.4%에 상당하며 남사면(25종류)과 북사면(19종류)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류는 14분류군이며 남사면에만 분포하는 것은 11종류이고 북사면은 5종류이었다. 희귀식물은 16과 20속 21종 1변종, 총 22종류가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8과 16속 19종 1변종, 총 20종류로 우리나라 귀화식물 218종류의 9.2%에 해당하며, 남사면에 분포하는 것이 16종류이고 북사면에 16종류가 분포하며 공통분포가 12종류이다. 조사지역의 생활형 조성은 H-D1-R5-e type으로 온대의 전형적인 생활형을 보였으며,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식용 자원이 42.4%, 약용 자원이 31.5%, 관상용 자원이 15.6%, 목초용 자원이 13.3%로 나타났다. 남사면 일대의 산림식생에 대하여 Z-M방식에 의한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으로 분석 한 결과 1개의 군목과 1개의 군단과 5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철쭉군목 (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case Kim 1990)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Lindero-Quercion mongilicase Kim 1990) A.신갈나무 전형하위군락(Typical community) B.사시나무-신갈나무군락 (Populus davidian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잣나무-주목군락 (Pinus koraiensis- Taxus cuspidata community) D.소나무-산거울군락(Pinus densiflora-Carex humilis vu. nana community) E.거제수나무-사스레나무군락 (Betula costata-Betula ermanii community) 이 곳의 산림식생의 층상구조는 교목층과 초본층의 피도가 84%와 78%로 비교적 높은 반면에 아교목층(39%)과 관목층(42%)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피도를 보이는 전형적인 산림구조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어 비교적 식생이 잘 보전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발표된 북사면의 식생과 비교해 볼 때 전체적으로는 신갈나무-철쭉군목으로 대표되나 군단이 하의 군목들은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Floristic composition and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Mt. Chongok and Mt. Tuta were investigated, and that was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published report in 1993.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100 families, 358 genera, 573 species, 95 varieties, and 18 formae, totaling 686 taxa. The vegetation was relatively well conserved based on Pteridophyta calculation (Pte-Q), 1.13. Compared with the vascular plants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 area, the vascular plants of the southern slope area were composed of 87 families, 287 genera, 419 species, 73 varieties, and 11 formae, totaling 503 taxa, and those of the northern slope area consisted of 94 families, 293 genera, 427 species, 73 varieties, and 12 formae, totaling 512 taxa, respectively. Also, compared with the taxa in each side, both sides were composed of 332 species in common, southern sides, 172 species and northern sides, 182 species, respectively. The number of species of 11 families belonged to the higher level among total families taxa was composed of 328 species(47.8%). Among them, Compositae and Rosaceae were included much more species than remnant families. Korean endemic species were composed 16 families, 24 genera, 20 species, 8 varieties and 2 formae, totaling 30 species(4.4%). Compared with the Korean endemic taxa in each side, both sides were composed of 14 species in common, southern sides, 11 species and northern sides, 5 species, respectively. A naturalized plants were 20 species, correspond to 9.2% of totaling 218 species appeared in South Korea. Among them,12 species were appeared commonly in both sides, southern sides, 16 species and northern sides, 16 species, respectively. Life form spectra was H-D1-R5-e type and, useful resources plants are as follows; edible source(42.4%), medicinal source(31.5%), ornamental source(15.6%) and pasture source (13.3%) in the total region.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southern slope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s and 5 communities; 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cae, Lindero-Quercion mongolicae, Quercus mongolica Typical community, Populus davidiana-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koraiensis-Taxus cuspid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rex humilis var. nana community, Betula costata-Betula ermanii community. It is considered that the slight difference of the flora and vegetation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slope is mostly due to the topographical and climatic difference. Even closer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the more accurate comparison in this are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창구,백원기,이우철. (1999).청옥산 - 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 (3), 240-252

MLA

조창구,백원기,이우철. "청옥산 - 두타산 남사면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3(1999): 240-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