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조 의학유서 편찬에 사용된 참고의서 고찰

이용수 80

영문명
A Study on the Medical Reference Books Used in the Medical Compilations of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의사학회
저자명
안상우(Sang-Woo Ahn)
간행물 정보
『한국의사학회지』제33권 제2호, 102~127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의약학 > 한의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3대 의학유서로 불리는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동의보감』의 편찬에 직접 인용한 의서는 총 376종에 달한다. 이중 3대 의학유서에서 공통으로 참고한 의서는 『경험양방(經驗良方)』, 『득효방(得效方)』, 『삼인방(三因方)』, 『선명론(宣明論)』, 『성제총록(聖濟總錄)』, 『성혜방(聖惠方)』, 『어의촬요(御醫撮要)』, 『영류검방(永類鈐方)』, 『위생보감(衛生寶鑑)』, 『천금방(千金方)』, 『탕액본초(湯液本草)』로 총11종이다. 이들은 대부분 송대로부터 명초 시기를 대표하는 의방서와 의학명저들로 조선조 내내 조선의 의학전통을 수립하는데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의학이론과 의학사상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지만 처방과 용약은 오랜 기간을 거쳐 경험이 누적된 지식을 중요하게 여긴 까닭으로 보인다. 아울러 고려조에서 편찬된 『어의촬요』 이외에는 모두 중국의서 위주로 준용하고 있어 새로 도입한 외래지식을 수용하기 위해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전대 유서인 『향약집성방』과 『의방유취』가 후대 『동의보감』 역대의방에 주요문헌으로 등장하고 있지만 같은 내용을 중복하지 않기 위해, 특이사항만을 발췌하여 최소화함으로써 차별화된 내용을 구성하려했다.

영문 초록

The three major medical compilations of the Joseon Dynasty, Hyangyak-jipseongbang, Uibang-yuchwi, and Dongui-bogam, directly cited a total of 376 kinds of medical books. Among them, 11 medical books were commonly referred: Gyeongheom-yangbang, Deukyobang, Saminbang, Seonmyeongnon, Seongje-chongnok, Seonghyebang, Eoui-chwaryo, Yeongnyu-geombang, Wisaeng-bogam, Cheongeumbang, and Tangaek-boncho. Most of them were medical classics and formularies representing the period from the Song to the early Ming Dynasties, which most likel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Joseon’s medical tradition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 reason why the majority of the medical reference books was formularies seems to be that prescription practices and the use of medicinals value knowledge with accumulated experience over a long period, whereas medical ideas and doctrines change with time. Besides, except for Eoui-chwaryo compiled in the Goryeo Dynasty, the three significant compilations referred to Chinese medical books, which indicates that the compilers made efforts to accommodate the newly introduced foreign knowledge. At the same time, the former compilations, Hyangyak-jipseongbang and Uibang-yuchwi, later appeared as primary references in Dongui-bogam’s Medical Formularies of Successive Generations. However,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the same contents, the compilers tried to form a differentiated version by extracting only the unique contents.

목차

Ⅰ. 서론 : 조선 의학유서 간행 전통
Ⅱ. 결론 : 조선 의학유서의 참고의서 고찰
감사의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상우(Sang-Woo Ahn). (2020).조선조 의학유서 편찬에 사용된 참고의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33 (2), 102-127

MLA

안상우(Sang-Woo Ahn). "조선조 의학유서 편찬에 사용된 참고의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33.2(2020): 102-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