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기반 마을공동체 정책대상자의 인식, 정서, 역량에 대한 연구

이용수 370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 Emotion and Capacity of Cultural-Based Community’s Policy Target Groups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송안나(Song, Anna) 김세준(Kim, Saejune)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56집,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기반 마을공동체가 어떻게 고유의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지속가능한 성숙한 공동체가 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정책대상자의 인식, 정서, 역량에 대해살펴보았다. 공동체의 개념, 공동체 성장요인 및 성장단계, 문화활동, 그리고 정책집행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문화기반 마을공동체 사업에 적합한 정책집행 분석모형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하였고, 연구대상은 안산 사동 ‘감골주민회’, 안산 대부동 ‘상동공동체’, 안동 신세동 ‘그림애문화마을’ 로 문화기반 마을공동체의 성공사례를 선정하였다. 심층인터뷰와 문헌분석, 직접관찰을 통해 얻은 자료를 로버트 인(2009)이 제시한 패턴매칭, 사례통합 분석기법을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정책대상자는 공동체 활동을 통해 신뢰와정서적 친밀감, 소속감을 느끼는 정서적 변화를 겪으며, 지역에 대한 애착심이 향상되었다. 둘째, 정책대상자의 공동체 의식과 공동체 역량이 성장에 중요한 요인으로나타났다. 공동체 활동을 통해 참여유도, 상호교류, 역량강화, 파트너쉽의 단계를거치며 성장해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창의적 문화활동을 통해스스로를 표현하면서 자신을 재발견하고, 타인과 소통하면서 마을공동체의 공통적고민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기반마을공동체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연구를 기반으로 정책집행 분석 모형을 도출하였고, 문화기반 마을공동체의 사례를 분석하여 공동체의 성장 방향성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culture-based communities can form a community culture and become a commun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e concept of community, community development factors and stage of development, cultural activities, and policy implementation theory, policy execution analysis models suitable for culture-based community projects were deriv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 and success stories of culture-based village communities were selected as the ‘Gamgol Community’ in Sadong, Ansan, ‘Sangdong Community’ in Daebu-dong, Ansan, and ‘Grimae Village’ in Sinse-dong, Ando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literature analysis, and direct observation, the research analysis used pattern matching, explanation, chronicle analysis, and case integration analysis methods presented by Yin (2009).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were taking place in the process of step-by-step development. The main factors in the community development phase were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emotional change of participants and the change of capacity within the community. Second, it was understood that cultural activities played a major role in strengthening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mmunity capacity, and could be understood as various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the ecological approach study on culture-based community, this study derived the policy execution analysis model, analyzed the case of culture-based village community,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ommunity and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V. 연구의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안나(Song, Anna),김세준(Kim, Saejune). (2020).문화기반 마을공동체 정책대상자의 인식, 정서, 역량에 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56 (1), 5-38

MLA

송안나(Song, Anna),김세준(Kim, Saejune). "문화기반 마을공동체 정책대상자의 인식, 정서, 역량에 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56.1(2020):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