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밀레니얼 세대 도시 음악가 청년들의 창조적 하위문화 생산 – 바(bar) 신도시를 중심으로

이용수 94

영문명
Creative subcultural production of the millenial generation urban youth musician – Focus on bar Seendosi, Euljiro, Seoul
발행기관
한국대중음악학회
저자명
김태윤(Taeyo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대중음악학회 학술대회발표문』제23권, 1~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02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 수표동의 클럽 겸 주점 신도시가 수행하고 있는 지역적 하위문화의 성격을 밀레니얼 세대, 예술, 아시아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할 것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홍대앞 인디씬에서 개인주의적 정체성 정치를 반영한 하위문화가 수행된 반면 최근 밀레니얼 세대로 불리우는 80년대 이후 출생자들에게는 청년 실업 등 비관적 경제전망이 두드러진다. 지난 몇 년간 서울 곳곳에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도시재생을 화두로 문화와 예술은 정책과 지원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한 가운데 신도시는 종종 2010년대 중반 이후 예술가 청년들이 자립적으로 공간을 생산했던 신생공간 담론 내에서 회자되기도 한다. 비관적 경제전망 속에서 경제적 자립을 이루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위문화 및 예술 활동을 전개하는 면모를 이 글에서 창조적 하층계급으로 지칭하는 가운데, 신도시에서는 아시아의 예술가 및 음악가들과의 초지역적인 공동 작업을 방향성으로 설정하고 활동을 확장해가는 점이 특징적이다. 주점 경영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넘어서 신도시에서 수행되는 도시 음악가 및 예술가 청년들의 창조적 하위문화 실천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will consider the character of the local subculture that is being performed by the club and liquor new town of Supyo-dong as three types: Millennial generation, art, and Asia. In the late 1990s, a subculture reflecting individualist identity politics was carried out in front of Hongdae, while the births of the 1980s and the recent millennials are characterized by pessimistic economic outlook such as youth unemployment. Over the past several years, as the phenomenon of gentrification has accelerated in Seoul, culture and art have been subject to policy and support, with the theme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meantime, new towns are often discussed within the discourse of neo-spatialism, where artists young adults have produced space autonomously since the mid-2010s. In the context of economic self-reliance in the pessimistic economic prospect and the subcultural and artistic development based on it, I refer to the creative underclass in this article, and in the new city, I work on super regional cooperation with Asian artists and musicians And to expand the activity. I would like to examine creative subculture practices of urban musicians and artists young people in new towns beyond economical independence through liquor management.

목차

1. 들어가며
2. 홍대앞의 변화, 젠트리피케이션과 하위문화의 분화
3. 포스트하위문화: 브리콜라주와 창조적 하층계급들의 문화 생산
4. 밀레니얼 세대 음악가 및 예술가들의 집단적 자원 공유
5. 구도심의 변화 속 창조적 예술공간의 가능성
6. 창조성의 부지, 주변적인 아시아로
7.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윤(Taeyoon Kim). (2018).밀레니얼 세대 도시 음악가 청년들의 창조적 하위문화 생산 – 바(bar)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국대중음악학회 학술대회발표문, 23 , 1-13

MLA

김태윤(Taeyoon Kim). "밀레니얼 세대 도시 음악가 청년들의 창조적 하위문화 생산 – 바(bar)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국대중음악학회 학술대회발표문, 23.(2018): 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