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하르트무트 로자의 공명이론과 교육학적 시사점

이용수 224

영문명
Die Theorie der Resonanz von Hartmut Rosa und ihre pädagogische Implikation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이태영(Tae-Young Lee)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5권 제1호, 43~6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속도합리성에 기반한 기술문명의 지배와 그로 인한 사회적 시간의 가속화 및 병리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디지털 시대에 한층 심화된 역동화 원리는 공동존재로서 현존재의 존재 방식에 탈시간화와 탈거리화를 초래하고, 개인과 사회의 내면에 성장⋅속도⋅혁신 그리고 최적화 강박을 심어 놓았다. 그 결과, 물화된 세계는 주체에게 지배와 정복의 대상으로 다가오고 항상 분주하게 전력을 기울이는 현대인은 소진의 위험에 노출되었다. 본론에서는 우선 하르트무트 로자의 가속화 테제와 공명이론을 토대로 현대인의 이러한 실존 상황을 소외로 규정한 다음, 대안적 존재 방식을 모색하였다. 로자는 인간 존재의 관계지향적 본성을 회복하고 지속가능한 포스트성장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 공명(共鳴)이라는 공동체적 대응전략을 제시한다. 이에 본론 후반부에서는 그의 공명이론을 구성하는 하위 개념들을 원용하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공명의 교육학적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모든 교육 주체가 저마다의 자기효능감과 상호신뢰에 바탕하여 개방적으로 참여하는 수업 활동에서는 교육 요소들 사이에 공명관계가 끊임없이 재생성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학교라는 공명공간 안에서 모든 주체가 세계에 대한 말함과 자기 말함을 통한 일상적 존재 방식을 회복함으로써 공동체적 세계관계의 가능성이 다시금 새롭게 열릴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as Dasein der modernen Menschen als ‘entfremdet’ definiert. Es ist im tempo-orientierten technischen Zivilisationsprozess der Moderne entzeitlicht und enträumlicht. Die Beschleunigung der sozialen Zeit, die im digitalen Zeitalter noch mehr eskaliert, und der damit einhergehende Steigerungszwang der Leistungsgesellschaft führen dazu, dass die Welt verstummt erscheint und Menschen in die Anomie geraten. Dagegen wird hier in Anlehnung an Hartmut Rosas Thesen wider die Steigerungslogik der Moderne und seine Soziologie der Weltbeziehung nach alternativen Existenzweisen der Menschen im spätmodernen Zeitalter gesucht und der Übergang zu einer nachhaltigen Postwachstumsgesellschaft gefordert. Dabei wird die ‘Resonanz’ als der Schlüsselbegriff zur Regenerierung und Stabilisierung der kommunikativen und konstitutiven Natur des Menschen vorgeschlagen. Die stetige Wiederbelebung der Resonanzbeziehungen zwischen ‘Ich und Du’ in pädagogischer Praxis ermöglicht ein immer wieder neues Konstituieren des Resonanzraums auf der Grundlage des Vertrauens auf die Selbstwirksamkeit und Interaktionsfähigkeit jedes einzelnen Bildungssubjekts bzw. -akteurs. In diesem Sinn wird die Schule als ein alternativer Raum zum Paradigmenwechsel der Bildungskultur neu entdeckt, in dem die Menschenentfremdung aufgehoben werden und die Welt dem Subjekt als ein antwortendes, tragendes, atmendes ‘Resonanzsystem’ erscheinen kann; und zwar im Kampf gegen die Dynamisierungslogik der modernen Gesellschaft. In einem gelingenden Unterricht bildet sich das ‘Resonanzdreieck’ zwischen Lehrer, Schüler und Stoff, während in einem gescheiterten Unterricht das ‘Entfremdungsdreieck’ entsteht. Bei solchem Resonanzgeschehen wird die Welt zum Klingen und Vibrieren gebracht, und das Dasein zum Sprechen und Leben. Hieran lässt sich ein Ansatz zum neuen Nachdenken über die Schulbildung in unserem digitalen Zeitalter bemerken.

목차

Ⅰ. 서론
Ⅱ. 하르트무트 로자의 문명비판과 후기근대의 병리현상
Ⅲ. 공명이론과 학교교육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영(Tae-Young Lee). (2020).하르트무트 로자의 공명이론과 교육학적 시사점. 교육의 이론과 실천, 25 (1), 43-62

MLA

이태영(Tae-Young Lee). "하르트무트 로자의 공명이론과 교육학적 시사점." 교육의 이론과 실천, 25.1(2020): 4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