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76

영문명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s on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by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염지혜(Jihye Yeom) 전미애(Miae Chun)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40권 2호, 239~25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러한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Baltes와 Baltes(1990)의 선택, 적정화, 보상 이론(SOC)과 Prandini(2014)의 가족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이 된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노년기에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서 1인가구를 추출해 연구대상자(남 n=370, 여 n=1770)로 삼았으며, 친구·이웃만남과 경로당·복지관 참여를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의 경우 가족관계가 친구·이웃 또는 경로당·복지관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는 가족과의 연락빈도가 친구·이웃만남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경로당 복지관 참여에는 가족연락빈도와 자녀관계 만족도가 정적(+) 영향이 나타난 반면 가족만남빈도는 경로당 복지관 참여에 부적(-) 영향이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가족구성원이 사회적 자본이 된다는 Prandini(2014)의 주장이 지지되는 것으로 보이나, 어떠한 종류의 지역사회참여인가에 따라서 그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에 대한 실천적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family relationships of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affect community participation and whether these relationships differ by gender. Based on Baltes and Baltes (1990) s 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theory (SOC) and the argument that family members are a social capital by Prandini (2014), we test whether family relationships can affect community participation in old age. In order to verify this,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extracted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ale sample=370, Female sample=177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of friends·neighbors and the participation at Kyungrodang·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men, family relation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articipation in friends·neighbors, or Kyungrodang·welfare centers. However, in the case of women,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ami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requency of meeting friends·neighbors. Family contact frequency and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Kyungrodang·welfare center participation, while family meeting frequency had a negative effect on participation in Kyungrodang·welfare centers. For women, although Prandini s (2014) claim that family members are a social capital seems to be supporte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could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addition, practic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지혜(Jihye Yeom),전미애(Miae Chun). (2020).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40 (2), 239-255

MLA

염지혜(Jihye Yeom),전미애(Miae Chun). "단독가구 노인의 가족관계가 지역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40.2(2020): 239-2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