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축형 연령통합척도 타당화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연령통합인식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이용수 540

영문명
Validation of Short Form Age Integration Scale and Relationships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ge Integration: A Comparison of Age Group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정순둘(Soondool Chung) 임정숙(Jeungsuk Lim)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40권 1호, 73~8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0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순둘 등(2015)이 개발한 연령통합척도를 Riley 등(1994)이 개념구성한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을 하위요인으로 한 단축형 연령통합척도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척도의 실용성을 확보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른 연령통합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한 사회과학역량강화지원사업(SSK)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조사’자료의 총 143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집단 요인분석, 평균비교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척도는 총 28문항에서 13문항으로 수정되었으며, 연령다양성 8문항, 연령유연성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청년, 중년, 노년 집단으로 분류하여 다집단 요인분석에서 연령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 연령에서 사용가능성이 확보되었다. 셋째, 연령집단 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연령통합인식 차이에서 청년집단은 거주지역에서만 연령통합인식, 연령유연성, 연령다양성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년집단에서는 거주지역과 계층인식에서 연령통합인식, 연령유연성, 연령다양성 차이를 보였다. 노년집단은 연령통합인식에서는 거주지역, 교육수준, 계층인식이 유의미하였으며, 연령유연성에서는 거주지역과 계층인식, 연령다양성에서는 거주지역과 교육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령통합인식 향상을 위한 연구를 위한 방향과 정책 및 실천을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alidates an abridged version of the age integration scale by Chung et al. (2015), which constitutes sub-dimensions of age flexibility and age heterogeneity-from Riley et al. (1994)-and observes disparities in the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among differen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1,433 people in the Age Integration and Generation Integration Survey data, with the support of the Social Science Competency Enhancement Project (SSK)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data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group factor analysis, and a compare means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ale was abridged to 13 items from 28, of which eight items concern age heterogeneity and five concern age flexibility. Second, the multi-group analysi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younger, middle, and older age groups, therefore allowing the scale to be used among all age groups. Third, whe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younger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age integration, age heterogeneity, and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Middle-aged adults showed dif f erences in their levels of age integration, age heterogeneity, and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social status. Older ad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level of age integration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education level, and social status. They also showe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e flexibil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social status an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e heterogeneity regarding their residential area and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litical and practical measures to promote perception on age integration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순둘(Soondool Chung),임정숙(Jeungsuk Lim). (2020).단축형 연령통합척도 타당화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연령통합인식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한국노년학, 40 (1), 73-89

MLA

정순둘(Soondool Chung),임정숙(Jeungsuk Lim). "단축형 연령통합척도 타당화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연령통합인식 관계: 연령집단 간 비교." 한국노년학, 40.1(2020): 73-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