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레게의 전개 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1

영문명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Reggae
발행기관
한국대중음악학회
저자명
황은지(Hwang, Eun Ji)
간행물 정보
『대중음악』통권 13호, 33~6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제3세계 음악으로는 이례적으로 한때 전 세계 대중음악 시장을 장악했던 ‘레게(Reggae)’의 음악적 스타일이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 영입되는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명맥을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아울러 자메이카 레게에서 나타나는 여러 특징들을 중심으로 한국 레게 고유의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자메이카에서 1968~1969년에 발생한 대중음악인 레게는 자메이카 흑인들의 삶과 문화에 스며들어 있는 ‘라스타파리아니즘(Rastafarianism)’의 이상을 음악의 주제와 가사를 통해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밥 말리(Bob Marley)의 영향으로 후에 많은 레게 뮤지션들이 미국음악 시장에 진출하게 되었고, 1970~1980년대에 이르러 제3세계 음악 중 유일하게 영국과 미국 대중음악 시장에서의 대중화에 성공한 장르로 인정받게 된다. 그러나 레게가 세계화되면서 자메이카인들의 이상보다는 상업성에 의한 변질이 문제화되었고, 이러한 양상은 한국 음악계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1980년대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 레게가 등장하기 시작하여 1990년대에 이르러 그 인기가 정상에 달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김건모’의 <핑계>가 성공적으로 대중에게 어필되면서 하나의 유행처럼 ‘레게리듬’을 차용한 수많은 히트곡이 쏟아져 나왔으며, 자메이카의 라스타파리아니즘의 상징인 ‘드레드록(Dread rock)’ 헤어스타일과 녹색, 노란색, 빨간색, 검은색으로 물들인 의상과 함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기에 이른다. 2000년대 이후 레게의 전통성을 강조한 뮤지션들이 대거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레게를 알리는 데 앞장섰고, 그들의 음악에 담겨 있는 독창성이 우리나라보다 국외에서 더욱 인정받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리얼 버라이어티 쇼와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등을 통해 소개된 레게가 음악 차트에서 상위권에 링크되는 등 이변을 낳았고, 디지털 음원 시장의 대중화에 힘입어 해당 음원 수익이 상당수를 차지하는 등 ‘레게의 대중화’는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은 레게가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 등장하면서 본질적 의미보다 독특한 리듬만을 차용하는 상업성에 중점을 둔 유행스타일에서 시작되어, ‘청국장레게’라 일컫는 우리만의 독창적인 스타일로 자리매김하기까지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200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계의 주요 특징들속에 노출된 레게가 보인 대중성과 이룩한 성과들에 대해 알아보고, 같은 범주 안에서 레게의 계보를 정리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자메이카 레게의 정의와 범위를 구체화하여 비교대상을 선정하고, ‘한국 레게’의 주축으로 정의한 ‘스컬’과 ‘김 반장’의 레게와 다양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 레게’의 주요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주류 또는 소수 장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어, 급변하는 대중음악 시장에서 필요한 다양성 부재의 문제점에 본 연구가 작게나마 자양분이 될 수 있길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observe the existence of the musical style of ‘Reggae’, which has once dominated the world’s popular music markets as an extraordinary genre of the third world’s music, as examining its history from the time of being introduced in Korea’s popular music market to the present time.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will help further understand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Reggae with a focus on the several features that appear in Jamaican Reggae. Reggae, that is, the popular music which has risen between 1968 and 1969 in Jamaica, had an important role to deliver the mechanism of ‘Rastafarianism’, which has been spread throughout the life and culture of Jamaicans, through the subjects and lyrics of the music genre. Under the influence of Bob Marley, a number of following reggae musicians advanced to the American music market, and in the 1970s and 1980s, Reggae, as the only one genre of the third world’s music, was recognized as the successful music genre that was popularized in both the British and the American popular music market. However, for the globalization of Reggae, its deterioration by commercialization disregarding the spirit of Jamaicans came to be problematized, and such aspec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Korea’s music world. After Reggae began to emerge in the Korea’s popular music market Reggae’,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help additional understanding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Reggae’.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expectation for various studies about underground music or minority music genres, which may be conducted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wish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lack of the variety of music genres, which is needed in popular music market that is rapidly changing.

목차

1. 머리말
2. 레게의 도입기
3. 레게의 정착기
3.1. 레게의 흐름과 특징
3.2. 레게의 대중화
3.3. 레게의 양극화
3.4. 레게의 전통성을 추구한 뮤지션
4. 레게의 부흥기
4.1. 레게의 전통성을 강조하는 뮤지션의 등장
4.2. 방송프로그램을 통해 소개된 레게
5. 한국 레게의 특징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은지(Hwang, Eun Ji). (2014).한국 레게의 전개 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중음악, , 33-62

MLA

황은지(Hwang, Eun Ji). "한국 레게의 전개 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중음악, .(2014): 3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