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45년 이전 일본 대중가요 음반에 나타난 조선인의 활동

이용수 122

영문명
Korean Musicians on Record of Japanese Popular Song before 1945
발행기관
한국대중음악학회
저자명
이준희(Lee Jun-hue)
간행물 정보
『대중음악』통권 7호, 129~15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5.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10년부터 1945년까지의 한국, 즉 식민지 조선의 대중가요는 동시대 일본 대중가요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그와는 반대로 조선인 대중음악가들이 일본 대중가요계에서 활동한 흔적 또한 찾아볼 수 있는데, 음반 자료를 통해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주로 1930년대에 보이는 조선인의 일본 대중가요 음반 관련 활동 내용을 보면 채규엽, 김영길, 이난영, 이규남, 나선교 등 가수가 열 곡 이상으로 비교적 많은 작품을 발표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들 조선인들의 활동이 가능했던 이유로는 우선 일본 대중가요에서 중요한 유행 요인으로 작용한 이국취향을 들 수 있는데, 조선인 가수들이 부른 노래 가운데 유독 <아리랑>이 많은 것으로도 그러한 사정을 짐작할 수 있다. 물론 조선인 대중음악가나 조선 대중가요가 일본 대중가요의 주류에 참여했다고 볼 수는 없으니, 위에서 본 다섯 명 외에는 그 활동이 대부분 일시적인 수준에 그쳤다. 음반회사의 일본 본사와 조선 지점이 밀접한 관계를 맺는 음악산업 체제 또한 조선인의 활동을 가능케 한 요인이었으니, 조선의 음반회사 전속 상황이 일본 활동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쳤다. 식민지시기의 음악산업 체제는 물론 동등한 관계 속에 형성된 것은 아니었으므로, 일본인이 조선 대중가요에 주로 작곡자나 편곡자로 활동한 점과 조선인이 일본 대중가요에 주로 가수로 활동한 점은 그러한 불균등한 관계를 잘 보여준다. 조선인의 일본 대중가요 관련 활동은, 결국 당시 문화 전체를 규정하는 전제였던 제국 질서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From 1910 to 1945 popular song of Korea, colony of Japan, was influenced by that of Japan. However some Korean musicians’ names are also found on record of Japanese popular song before 1945. For example, some singers, Chae Gyu-yeop, Kim Yeong-gil, Lee Nan-yeong, Lee Gyu-nam, Na Seon-gyo, released above 10 songs. Exoticism in Japanese popular song motivated Korean musicians’ activity, so many songs of them were related with Arirang, the most famous Korean modern folk song. Of course Korean musicians couldn’t join in main stream of Japanese popular song, and activity of them except 5 singers were transitory. Record industry system composed by head in Japan and branch in Korea also motivated Korean musicians’ activity, so their contract with record company in Korea was maintained in Japan. Because, but, the system between Korea and Japan was not equal, most of Japanese musicians on Korean record were composers or arrangers and most of Korean musicians on Japanese record were singers. In conclusion, Korean musicians’ activity in Japanese popular song was based on the empire system that controled all of culture in those days.

목차

1. 머리말
2. 일본 대중가요 음반의 조선인 활동 사례
3. 조선인 활동의 배경과 의미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희(Lee Jun-hue). (2011).1945년 이전 일본 대중가요 음반에 나타난 조선인의 활동. 대중음악, , 129-157

MLA

이준희(Lee Jun-hue). "1945년 이전 일본 대중가요 음반에 나타난 조선인의 활동." 대중음악, .(2011): 129-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