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IV 감염인의 사회적 낙인이 자기낙인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4

영문명
The impact of social stigma of HIV infected people on suicide ideation mediated by self-stigmatization and internalized shame
발행기관
한국통합치료학회
저자명
권경애(Kwon, kyung-ae) 홍혜영(Hong, Hye-young)
간행물 정보
『통합치료연구』제11권 제1호, 69~9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HIV 감염인의 사회적 낙인이 자기낙인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하여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247명의 HIV 감염인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 분석 및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SPSS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사회적 낙인과 자기낙인, 자기낙인과 내면화된 수치심,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낙인은 자기낙인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낙인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낙인과 자살사고 사이에서 자기낙인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이중매개효과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HIV 감염인의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했고 HIV 감염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과 자기낙인의 존재만으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내면화된 수치심도 함께 가지고 있을 때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suicide ideation through the mediums of self-stigma and internalized shame in HIV-infected people.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7 HIV-infected people,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and dual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tigmatization and self-stigmatization, self-stigmatization and internalized shame, and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e ideation. Second, social stigmatization through the medium of self-stigmatization had no meaningful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Third, social stigmatization through the medium of internalized shame had no meaningful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Fourth, between social stigmatization and suicide ideation, self-stigmatization and internalized shame were meaningful in terms of having a double mediation effect. This research identified social stigmatization, self-stigmatization, and internalized shame in HIV- infected people as variables that influence suicide ideation. It also concluded that the social and self-stigmatization of HIV-infected people alone does not influence suicide ideation, and that this effect takes place with the additional presence of internalized shame. Possible implications and discussion points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논의
V. 연구의 의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경애(Kwon, kyung-ae),홍혜영(Hong, Hye-young). (2019).HIV 감염인의 사회적 낙인이 자기낙인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통합치료연구, 11 (1), 69-98

MLA

권경애(Kwon, kyung-ae),홍혜영(Hong, Hye-young). "HIV 감염인의 사회적 낙인이 자기낙인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통합치료연구, 11.1(2019): 69-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