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221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rectional Officials’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발행기관
한국교정복지학회
저자명
도광조(Do Gwang-jo) 김금자(Kim Geum-ja)
간행물 정보
『교정복지연구』矯正福祉硏究 第61號, 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 실태와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의 실태를 살펴보면 감정표현의 빈도 3.49, 감정표현의 다양성 3.18, 감정적 부조화3.12로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 수준은 3.27이었다. 또한 응답자의 연령과 직무관련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감정노동의 세 가지 요소, 즉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표현의 다양성, 감정적 부조화 모두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몰입에는 감정표현의 다양성과 감정적 부조화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영향을 미치는 방향에 있어서 세가지 요소 간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감정표현의 빈도가 높을수록, 감정적 부조화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감정표현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오히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correctional officials’ emotional labor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bove all,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emotional labor of correctional officers, it was found that frequency of emotion expression was 3.49, diversity of emotion expression 3.18, and emotional dissonance 3.12.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of correctional officers was found to be 3.27.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dents age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Next, looking at the influenc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three factors of emotional labor, such as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dissonanc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but in term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ly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disson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However, in the direction of influenc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factors, demonstrating tha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dissonance,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ression, eve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the correctional officials emotional labor turned out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sub-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도광조(Do Gwang-jo),김금자(Kim Geum-ja). (2019).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교정복지연구, (61), 1-30

MLA

도광조(Do Gwang-jo),김금자(Kim Geum-ja).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교정복지연구, .61(2019): 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