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생용 피드백 리터러시 척도(FLSS)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1650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eedback Literacy Scale for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박민애(Minae Park) 손원숙(Wonsook Sohn)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32권 제3호, 473~49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습을 위한 평가(AFL)가 강조되는 시점에서 AFL의 핵심요소인 피드백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학생들의 학습과 평가에 있어 필수적인 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학습자의 피드백 리터러시를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피드백 리터러시(feedback literacy)는 피드백의 활용능력 및 피드백에 대한 태도로써 정의되었으며, 이에 기반을 두어 피드백 리터러시 척도(Feedback Literacy Scale for Students: FLSS)가 개발, 타당화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291명) 및 본 검사(376명)를 실시하였으며 문항과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점검하기 위하여 평정척도모형(Andrich, 1978)에 기반한 Rasch 모형 분석 및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피드백 리터러시는 피드백 활용능력과 피드백 태도로 구성되며, 활용능력은 다시 피드업, 피드백, 피드포워드, 태도는 인지, 정서(정서, 정서조절), 행동(피드백 구하기) 요인으로 세분화되는 등 다층⋅다차원(multi-level, multi-factor) 모형으로 개념화되었다. 둘째, 피드백 리터러시 척도의 최종 문항은 피드백 활용능력 14문항, 피드백 태도 21문항으로 총 3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결과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적 타당도 검증 결과, 학습자의 피드백 리터러시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피드백 리터러시의 개념 및 척도의 의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ability to use feedback, which is a key element of the AFL, at the point of emphasis on the Assessment for Learning(AFL), is an essential one needed to be successful learners. In this study, we have conceptualized students’ feedback literacy as their capacities and attitudes needed to understand and use feedback provided by various sources and in addition, the Feedback Literacy Scale for Students(FLS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both the field trial and main study were conduc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Rasch and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to check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LSS. First, the feedback literacy was defined as students’ capacities and attitudes needed to make sense of feedback and use it. The construct for the use of feedback was subdivided into feedup, feedback, and feedforward, while the feedback attitude included cognitive, emotional(emotion, emotional control), and behavioral(feedback seeking) domains. Second, the final version of FLSS consisted of 14 items of students’ capacities and 21 items of students’ attitude toward feedback. Thir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al scale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Fourth, as a result of the external validity test, the higher the learner s feedback literacy level, the higher the academic self-regulation.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applied use of the FLSS in Korea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민애(Minae Park),손원숙(Wonsook Sohn). (2019).학생용 피드백 리터러시 척도(FLSS) 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32 (3), 473-495

MLA

박민애(Minae Park),손원숙(Wonsook Sohn). "학생용 피드백 리터러시 척도(FLSS) 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32.3(2019): 473-4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