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786년 편찬한 이마니시문고 『경상도읍지』의 분석과 그 의미

이용수 91

영문명
An Analysis of Gyeongsangdo-eupji compiled in 1786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이재두(Lee, Jae-Doo)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8집, 69~10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 덴리대학 덴리도서관 이마니시문고는 정조대에 편찬한 경상도 62개 고을의 읍지를 소장하고 있다. 이중 21책 60개 고을의 읍지는 『금서박사수집 마이크로필름판 조선사원본 컬렉션』(이하 이마니시필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함안군과 곤양군의 읍지가 실려 있는 『함안지』1책은 이마니시필름에 들어있지 않다. 1786년(정조 10) 당시 경상도 71개 고을은 모두 읍지를 편찬하였지만, 9개 고을 읍지는 분실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정조대 경상도 각 고을 읍지와 일본국립국회도서관 육군문고 『경상도읍지』는 이마니시문고의 『경상도읍지』(이하 이마니시본)를 베낀 것이다. 『경상도읍지』(1786)는 1832년(순조 32)에 모든 고을 읍지를『경상도읍지』 유형으로 일치시키기 이전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각 고을 읍지를 구체적으로 분류해 보면, 『경상도읍지』 유형이 61%이고, 『여지도서』+알파(α) 유형이 39%이다. 전국적으로는 1768년(영조 44) 개발한 『경상도읍지』 유형이 1775년(영조 51) 『여지도서』+α 유형 보급이라는 ‘용도폐기의 시기’를 거친 뒤에 추진한 읍지 편찬 사업이었다. 조선후기 읍지는 『여지도서』(1760)나 『호남읍지』(1793)처럼 첫 장에 지도를 싣는 게 기본 형식이었다. 초계군의 군지절목, 합천군의 읍지목록, 봉화현의 봉화현산천지도를 보면, 『경상도읍지』도 ‘읍지’에 걸맞게 각 고을 읍지에는 ‘지도’를 수록하여야 했다. 1786년과 1832년의 『경상도읍지』 권차는 『대전통편』 기재순서를 기준으로 보정할 수 있다. 두 시기 모두 『대전통편』의 고을 기재순서를 어느 정도는 지켰지만,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대전통편』고을 기재순서는 18세기 말 지방행정이 도 아래에 몇 개의 거점 고을을 중심으로 집행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도 단위로 일원화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18세기 중엽 이래 여러 차례 추진한 읍지 편찬 사업은 고을에 따라서는 점차 재지사족들의 공의를 바탕으로 하기보다는, 사족들을 배제하고 지방관과 향리세력이 중심이 되면서 이전의 읍지를 그대로 베끼거나, 일부 내용만을 보완하였으며, 아예 이전에 있던 내용마저도 과감히 생략하였다. 이마니시필름에는 『경상도읍지』만이 아니라, 『경기도삼십륙읍읍지』등 다양한 읍지를 수록하고 있어 규장각의 전사본 읍지와의 대조 검토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looked for its meaning while analyzing the Gyeongsangdo-eupji(1786) collected by Liu Imanishi(今西龍). The books, which were owned by Imanishi, are the original versions of the Gyeongsangdo-eupji, which are owned by Kyujanggak and an Army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Japan. Dr. Imawanishi s collection of microfilm version of the original collection of Korean history, the original books are kept by the Tenri Library in Japan, contains a total of 154 reel 667 kinds 1,532 volumes. Each local eupji of Gyeongsangdo-eupji(1786) has a type of Gyeongsangdo-eupji types 61%, and a type of Yeojidoseo+α is 39%. It shows a transitional look before the Gyeongsangdo-eupji type, which was developed in 1768 and matched with the Gyeongsangdo-eupji type in 1832. In 1775, it was also in the time of being abandoned as the the Yeojidoseo+α type was distributed. Each eupji should have a map to match the ‘eupji’, as in Yeongdoseo. The book owned by Imanishi did not have a map on it. The Gyeongsangdo-eupji(1786) generally followed the order of the Daejeon-Tongpyeon(大典通編), but unlike Honam-eupji(1793) it was not necessarily. Imanishi s collection not only contains Gyeongsangdo-eupji, but also a variety of eupjis and maps, including Gyeonggido-36eup-eupji, which requires further research.

목차

1. 머리말
2. 『경상도읍지』(1786)의 서지정보와 수록항목
1) 서지정보
2) 유형별 분포
3) 유형별 수록항목
3. 정조 10년 (1786) 『경상도읍지』편찬의 의미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두(Lee, Jae-Doo). (2019).1786년 편찬한 이마니시문고 『경상도읍지』의 분석과 그 의미. 동방학지, 188 , 69-106

MLA

이재두(Lee, Jae-Doo). "1786년 편찬한 이마니시문고 『경상도읍지』의 분석과 그 의미." 동방학지, 188.(2019): 69-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