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丁酉再亂포로 실기 속 한시에 투영된 화자 의식

이용수 53

영문명
A Study of the Speaker’s Consciousness at Chinese Poetry in the True Record Literature by POW during Jeong-yu-jae-ran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조용호(Yong Ho Cho)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45권, 133~180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정유재란 시의 포로 실기에 포함된 한시에 투영된 화자 의식을 고찰한 것이다. 방법상으로는 시·공간의 변화에 따라 세 시기로 나누고, 그 기간에 지어진 시들에서 화자의 의식이 변모하는 추이를 살폈다. 대상은 일기 형태의 글에 포함된 시로 한정했는데, 그것은 실기에 포함된 시에서 화자의 기억이 가장 적게 굴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피로 전후부터 일본의 거류지에 도착하기까지 지어진 시는 일부 인사들의 기록에만 나온다. 그 가운데 강항의 시에는 사적인 감상이나 고뇌는 최소화되고 담담하게 상황을 감내하는 절제심이 뚜렷이 나타났다. 정희득과 정호인이 피란 중에 쓴 시에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 도와주지 않는 자연에 대한 원망과 안타까움이 스며있다. 일본에 있을 때 지어진 시 가운데, 노인의 것에는 온전히 귀국하여 임금께 충성하고 일본에 복수하겠다는 의식이 드러난다. 강항은 일본에 억류돼 있을 때 지은 시에서도 늘 충성심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이력이 훗날 시비를 불러일으킬 것을 예상하며, 환국한 뒤에는 조용히 은거할 생각을 드러냈다. 정경득 일족은 오직 생환하는 것만을 지상과제로 여겼다. 그들의 시에는 오직 고향과 부모를 그리는 의식만이 담겨 있다. 환국하는 과정에 지어진 시 가운데, 노인의 것에는 부모형제에 대한 걱정과 근심이 깊이 투영되어 있었다. 강항의 시에는 성은이 포로 신세인 자신에게까지 미친 데 대한 감개무량함과, 이로 인해 갖게 된 충성심과 절의가 뚜렷이 드러났다. 정경득 일행은 돌아오는 과정에 대마도에서 6개월 동안이나 발이 묶이게 되는데, 그 결과로 시에도 초조함과 절망감이 깊이 스며있었다. 특히 밤에 우는 새에게 실향인의 의식을 깊이 가탁하기도 하였다. 이런 방식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피로자들의 삶과 의식을 훨씬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것은 일기 속에 기록된 편지 등의 산문이나 대화 자체만으로 피로자의 의식을 검토하는 것과는 다른 시각과 가치를 지닌 것이라는 점에서 분명한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peaker’s consciousness projected at Chinese poetry, which was included in the true record literature written by Korean prisoners during Jeong-yu-jae-ran. For this purpose, I divid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and I observed the change of the speaker’s consciousness in the poems written in each period. The object of examining was confined to the poems included in the literature of diary type, because it was thought that the memory of the speaker was refracted the least in the poems included in the true record. The poems, which were written from the time before and after becoming captive until the arrival at the Japanese settlement, were only recorded by some people. Among them, the poems of Gang-hang minimized the private sentiments and anguish and distinctly expressed a moderation that endured the situation in a disinterested attitude. The poems that were written by Jeong-Hee-deuk and Jeong-Ho-in during the eruption were filled with anxiety about the future, resentment, and regret about nature that did not help them. Among the poems that were composed in Japan, No-In’s poetry represented the consciousness that he wanted to be loyal to the king and take revenge on Japan after returning home. When Gang-Hang was detained in Japan, he always brought his loyalty to the fore of the poems. Nonetheless, he anticipated that his past would invoke dispute in the future, so he revealed thought that he would live in seclusion after returning home. Jeong-Gyeong-deuk’s family regarded only the return as the supreme task. Their poetry showed solely yearning for parents and home. Among the poems that were written during the process of returning home, No-In’s poetry had a profound reflection of worries and anxieties about his parents and brothers. Gang-Hang clearly expressed infinite deep gratitude for loyal favor he received during the captivity and revealed the loyalty and fidelity to the king. Jeong-Gyeong-Deuk and his group were deprived of means of transit for six months in Daema-do(Tsushima in Japan) during the return journey. As a result, the poetry was deeply immersed in irritability and despair. In particular, they personified the consciousness of the displaced by the bird crying at nigh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 could understand the life and consciousness of the captive from more diverse angles. This study has a clear significance in that it has a different perspective and value that it has examined the consciousness of prisoners not only by a prose, such as a letter, or conversation but also by poetry in the literature of diary type.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기억과 일기, 일기 속의 詩
3. 시·공간의 변화에 따른 詠詩者의 의식 변화 추이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호(Yong Ho Cho). (2019).丁酉再亂포로 실기 속 한시에 투영된 화자 의식.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5 , 133-180

MLA

조용호(Yong Ho Cho). "丁酉再亂포로 실기 속 한시에 투영된 화자 의식."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5.(2019): 133-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