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바깥놀이 활성화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중심으로 -

이용수 262

영문명
The research on the activation of childhoods Outside Plays - Focusing on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the operating condition-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이선애(Lee, Sun-Ai)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3권 제1호, 153~17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중심으로 바깥놀이 활성화’의 목적에 둔다. 바깥놀이를 ‘휴식개념’과 ‘놀이시설과 놀이터중심의 전이놀이‘형태로 인식하는 관점에서 ‘바깥에서 할수 있는 교육과정의 다양한 활동’이라는 놀이중심교육과정으로 인식시키며 바깥놀이운영실태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인지역의 유치원교사 128명과 어린이집교사 72명을 대상으로 우편과 방문표집 후 무성 의한 자료와 문항의 누락설문지를 제외한 189명(94.5%)을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김희진(2012), 신동주 (2004), 황양선(2003)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수정ㆍ보완한 설문지 21문항과 개방형 설문 2문항으로 구성하여 SPSS21.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들의 바깥놀이에 대한 필요성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놀이자원인식은 지역여건이 자연친화적 환경임에도 시설중심으로 바깥놀이 개념이 도구화됨을 알 수 있었다. 놀이환 경에서 유아교육기관은 고정놀이기구와 비 구조화된 놀이공간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교사들은 바깥놀이의 주요활동을 놀이시설과 놀이기구를 중심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깥놀이운영의 어려움은 안전과 활동내용 및 지도방법이 다양치 못한 문제, 부모들의 인지기능중심 교육요구로 나타나 바깥놀이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부모의 재인식이 필요했다. 개방적 질문에서는 바깥놀이에 할애되는 시간과 편성에서 다수의 교사들은 운영시간을 30분으로 중식 후 휴식시간으로 교육과정의 활용보다는 ‘휴식이나 쉼’으로 인식하는 미흡한 수준이었다. 운영활성화의 방안으로 바깥놀이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재정지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아 추후 바깥놀 이의 중요성과 활동요인을 분석하여 바깥놀이의 활성화를 지원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rudimentary investigation about an activation of outside plays throug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ng conditions. It encourages the teacher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outside plays as taking a rest or facilities and playgrounds or various activities available in outside . The objects of this study, conducted by mailing and visiting, are 128 teachers from the kindergarten and 72 teachers from day care center in Seoul-Incheon area. To be specific, the sample of the study is without some careless answers and omitt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21 questions, improved based on Hee Jin Kim(2012), Dong Joo Shin(2005), Yang Sun Hwang(2003) studies, and 2 open question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t that outside plays were necessary, highly necessary or absolutely necessary. Even if they were close to natural environments, early childhood teachers used the facilities most. It suggests that their play concept is instrumental. The teachers used play facilities and play equipments mainly. About the time they take for outside plays and play contents, they thought 30 minutes was proper a little more then 30 minutes was not enough.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ed the outside plays as taking a rest rather than a curriculum sounds a little inappropriate.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outside plays were safety problems, repetition of similar activities and practices and parents demands for the academic-based curriculum. This result indicates that both teachers and parents need to understand the outside play in a new light. To nurture the diversity of outside plays, we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s the outside plays, such as program development,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and preschools, the parents perception and facility fund support, After all, we have to promote the outside play curriculum and its diversity. Also, it is necessary that the training of teachers for outside plays is needed to promote the outside plays. They have to change their misunderstanding that outside plays were possible only by taking advantage of play facilitie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선애(Lee, Sun-Ai). (2019).유아의 바깥놀이 활성화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 (1), 153-171

MLA

이선애(Lee, Sun-Ai). "유아의 바깥놀이 활성화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1(2019): 153-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