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업 소득의 환류와 가계 소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7

영문명
A Study on the Corporate Payouts and the Household Consumption
발행기관
한국경제발전학회
저자명
권세훈(Kwon, Sehoon) 주상영(Joo, Sangyong) 한상범(Hahn, Sang Buhm)
간행물 정보
『경제발전연구』經濟發展硏究 第25卷 第1號, 33~5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적인 재무이론에 따르면 배당과 자사주매입은 개별 기업 가치에 미치는 효과가 동일하다. 그러나 불평등의 축소와 소비확대를 통한 성장을 위해서는 배당이 자사주 매입보다 더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존재한다. 행태경제학의 관점에서 자사주 매입은 배당과 달리 임시소득 혹은 재투자할 원금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며, 해외 자료에서도 자사주 매입 등에 의한 자본이득에 비해 배당의 한계소비성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러한 가설을 검토하였다. 배당소득의 한계소비성향은 0.4 정도로 배당을 제외한 가처분소득의 경우와 유사한 수준을 보이지만, 자사주매입 대리 변수로 채택 한 유가증권 매각 소득의 한계소비성향은 배당의 1/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배당소득을 신고한 가구의 비중이 전체 표본의 1% 미만에 불과하다는 점과 연도별 분석에서는 추정치의 변동성이 크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소득의 선순환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기업의 이익은 투자뿐만 아니라, 임금증가와 배당 등의 형태로 경제 전체에 충분히 환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업이 과도한 현금성 자산을 장기간 보유하거나 자사주 매입에 치중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사주 매입의 경우에는 일반투자자의 이익과 의사에 반하여 소유지배구조 개편에 악용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차단하는 제도적 장치가 도입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raditional corporate finance theories suggest that dividends and share repurchases are equivalent payout methods in principle. In national economic perspectives, however, there is an assertion that dividends are better than share repurchases to cure the problems of asset inequality and insufficient consumption. Permanent income hypothesis and behavioral economics suggest that dividends are recognized as income that is disposable, but the capital gains are perceived as transitory income or principal that should be kept. This indicates that the MPC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ption) of dividends are higher than that of share repurchase and other capital gains. We analyzed the consumption effects of the corporate dividends and the share repurchase using the 2005–2015 HIES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and SHFLC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data. The MPC of dividend incomes is estimated about 0.4, which is similar to that of disposable incomes. The MPC of the earned incomes from selling securities proxying the incomes from share repurchases is only about one fifth of the MPC from dividend incom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households who reported non-zero dividend incomes are only about 1% of the whole sample., and the MPCs in the yearly sample are not stable an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many cases. For the harmonized income circulation, corporate earnings should be fed back enough into the national economy in the form of wage increases or dividends as well as investments. Policy makers should be aware that corporate sector s longer-term cash holdings and excessive stock repurchases might be not beneficial to the rest of the economy. Especially we need institutional mechanisms to prevent (big) companies from abusing share repurchases as a method of changing corporate governance against the interests of (small) shareholders.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연구의 개관
Ⅲ. 거시경제 순환과 기업금융채널
Ⅳ. 한국의 배당 및 자사주매입 관련 제도
Ⅴ. 배당 및 자사주매입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Ⅵ. 결론 및 정책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세훈(Kwon, Sehoon),주상영(Joo, Sangyong),한상범(Hahn, Sang Buhm). (2019).기업 소득의 환류와 가계 소비에 관한 연구. 경제발전연구, 25 (1), 33-53

MLA

권세훈(Kwon, Sehoon),주상영(Joo, Sangyong),한상범(Hahn, Sang Buhm). "기업 소득의 환류와 가계 소비에 관한 연구." 경제발전연구, 25.1(2019): 3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