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 밀레니얼(Millennial) ’ 만들기와 청년성의 전유

이용수 476

영문명
The Making of Millennials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가영(Kim Gayou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0권 제1호, 209~23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 연구의 일환으로서 최근 미디어에서 조명되는 밀레니얼 세대의 구성 맥락을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청년’이라는 기표에는 ‘규범적 사회화’와 ‘혁신적 창조성’이라는 두 가지의 모순된 기대가 함유되어 있다. 규범적 사회화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청년은 가장 활발한 노동인구로서 가정과 국가의 경제를 도맡아야 하며, 혁신적 창조성의 측면에서는 사회에 대한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시각을 견지해야 한다. 그러나 산업 구조의 변화로 인해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위와 같은 청년성을 재현하지 못하게 된 상황에서 청년 실패론이 대두되는 한편 청년들은 사회 혁신의 주체로 소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삶’, ‘나 다운 삶’을 살 것을 주장하는 한 청년 집단과 어울리며 참여 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청년들이 실패론이나 혁신론에 함몰되지 않고 어떠한 방식으로 삶의 태도를 기획하는 지 파악하였다. 밀레니얼 세대는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사회에 진출해 고용 감소, 일자리 질 저하 등을 겪어 대체로 소득이 낮아 결혼이나 내 집 마련 등에 적극적이지 않은 한편 개인적 삶의 의미와 자아실현의 가능성에 보다 관심이 많은 세대, 청소년기부터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여 온라인 미디어나 기술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세대 등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참여 청년들은 밀레니얼 세대를 자처하며 일로서 자아를 실현하고 서로의 참된 자아를 존중하는 세계를 꿈꾸며, 그러한 세계는 발전된 기술과 플랫폼을 이용한 자율 노동과 네트워크화된 인간관계 속에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실에서 그러한 삶을 실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흔들리는 믿음을 지속하기 위해 신흥 플랫폼 기업이 전파하는 탈산업 노동 윤리를 습득 및 재생산하고 있었다. 자신들의 주체성과 개성이 플랫폼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신실성’을 기획하고, 자신의 삶이 실제로 신실해지기 위해 끊임없이 마음을 다잡는다. 결국 밀레니얼 담론은 상당수가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으로 일컬어지는 특정 주체성을 생산함으로써 작동하는 탈산업 사회의 헤게모니인 것이다.

영문 초록

In line with studies on South Korean youths, this article seeks to the construction of Millennial generation. In the signifier Youth , there are two contradictory expectations included normalized socialization and innovative creativity . Therefore, youths should not only work hard as the most active labor population but also keep a critical and creative insight towards society. As the youths could no longer represent the youthfulness through those two traditional approaches due to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world and Korean industry, they have been surfacing as failed or highly innovative . In this research, conducting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taking in-depth interviews with a group of youths who claimed to live a new life true to oneself, I observed how the participants build their own attitudes of life, inclining to neither of those two representations mentioned above. Millennial generation refers to a generation jumping into relatively a low-income generation as they got through unemployment and downgrade of working conditions after having jumped into the job market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While they are 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and SNS, they are less interested in marriage or owning a house.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ho believes they are millennials dream a world where people take values on each other s own values and realize the true self through work. This world, according to what they mentioned, is possible through autonomous work and networks which are realiz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owever, as their dreaming life is being revealed to be difficult to come true in reality, in order to maintain their belief, they were acquiring and producing post-industrial labor ethos from new platform businesses. They design sincerity to be recognized in platforms, as well as make an effort to live sincerely. Conspicuously, the discourse of millennials is hegemony of post-industrial society which produces a certain subjectivity that is often considered as millennials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질문 및 방법
Ⅲ. 본론
1. 기술의 발전과 ‘덕업일치’의 꿈
2. ‘신실성(sincerity) 만들기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가영(Kim Gayoung). (2019).‘ 밀레니얼(Millennial) ’ 만들기와 청년성의 전유. 인문사회과학연구, 20 (1), 209-230

MLA

김가영(Kim Gayoung). "‘ 밀레니얼(Millennial) ’ 만들기와 청년성의 전유." 인문사회과학연구, 20.1(2019): 209-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