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생활 적응의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216

영문명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Youths’ School Life Adjustment -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
발행기관
한국정책개발학회
저자명
홍명숙(Myung Sook, Hong)
간행물 정보
『정책개발연구』정책개발연구 제18권 제2호, 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 및 가정특성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의사소통을, 환경특성요인으로서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업관계를 변수로 선정하고 종속변수로서 학교생활 적응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도출하여 이를 소집단 면접방식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입증하려고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본 논문에서 설정된 연구분석 모형은 83.560,.000으로 1%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또 모형의 설명력도 0.487, 0.482로 설정된 변수로서 학교생활 적응을 48.7%나 설명하였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직접 영향력은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의사소통,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꼐는 1%의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으며, 학업관계는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더미변수로 고려되었던 남․녀학생 간의 학교생활 적응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고등학교의 학교급별로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한다는 것이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매개변수로 고려되었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은 두 변수 모두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업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의 과정에서는 매개변수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가족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의 과정에서는 매개변수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영문 초록

Students face many adjustment problems in school life. From year to year, there are, more or less, changes in teachers, classrooms, school and class rules and procedures, performance expectations, difficulty of the work, and same agers. Their successes in negotiating these challenges predict school adjustment. Several important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s as follows. First, in this model, 6 variables which is independent and mediated variables explained 48.7 % of total variance of dependent variable which is youth‘s school adjustment The figure is somewhat moderate one. Second, it is found that same age friends, his or her family, teachers, school work and self-esteem,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eachers directly influence to youths’ school adjustment. The analysis of data shows that six variables to school adjustment, that is to say, self-esteem, his or her family,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eachers, same agers, teachers, and school work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youths’ school adjustment. As a whole,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kind of determinant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must be added in order to explain youth’s school adjustment bette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생활 적응의 이론
2. 학교생활 적응의 영향요인
Ⅲ. 연구설계
1. 변수의 선정과 분석의 틀
2. 측정도구: 설문의 구성
3. 표본추출, 자료의 수집과 분석
Ⅳ. 경험적 결과분석과 해석
1. 설문응답자의 사회인구적 특성
2.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
3. 변수의 영향력 검토(가설검정)
4. 학교생활 적응과정에서
매개변수의 효과분석
Ⅴ. 결론: 정책적 함의
1. 요 약
2. 정책적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명숙(Myung Sook, Hong). (2018).학교생활 적응의 영향요인 분석. 정책개발연구, 18 (2), 1-40

MLA

홍명숙(Myung Sook, Hong). "학교생활 적응의 영향요인 분석." 정책개발연구, 18.2(2018): 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