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 정체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5

영문명
Identific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and Response of Family Members towards Disability
발행기관
한국장애학회
저자명
허준기(Heo Jun Gi)
간행물 정보
『한국장애학회지』제1권 제1호, 5~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이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장애인으로 인식하고 정체화하는 과정에 대해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장애’는 사회적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고 호명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선천적 장애인이 출생 이후 가장 먼저, 빈번히 대면하는 가족을 통해서 장애 정체성이 어떻게 장애인 당사자에게 투영되고, 장애 정체화로 나아가게 되는지 보았다. 연구의 주된 사례는 연구자 자신이며, 자기민속지학을 통해 연구자가 장애인 정체성을 가족으로부터 어떻게 호명받고 장애인으로 자기 정체성을 인식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장애에 관하여 부모가 지니고 있는 인식은 발화되는 표현과 그에 따른 호명의 과정을 통해 장애인 당사자들에게 그대로 심어지고 있었다. 또한, 장애인 당사자가 출생하기 전에 가족이 지니고 있던 장애에 대한 인식의 정도나 가족이 처해있는 사회ㆍ경제적 요건에 따라 가족구성원 안에서 장애를 다루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장애인 당사자가 장애인으로 정체성을 부여받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가족이 어떤 방식을 취하느냐에 따라서 장애인 정체성의 형성 정도가 달라진다. 장애를 바라보고 대응하는 방식은 동정ㆍ시혜ㆍ극복의 대상으로의 장애, 은폐하고 싶은 장애, 생활개선을 위한 도구로서의 장애, 사회저항으로서 견인차적 장애가 있다. 이 중에서 가족이 어떤 방식을 택하느냐에 따라 장애인 당사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자기비하에 머물지 않고 나름의 적극적 주체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ocesses of self-recognition and self - identification of ‘the disabled’ in the family relationship of the disabled. ‘Disability’ has been interpellated and made by social processes. The first and subsequent frequent encounters by the person with inborn disability with family members are projected to the person and makes the person identifying oneself as ‘the disabled’. The main target of this research is the researcher himself and, through autoethnography how the researcher himself has been interpellated and has recognized one’s own identity as the disabled is examined. The expressions spoken out of the parents’ based on the preexistent recognition on disability and consequential interpellation processes have implanted parents’ recognition of disability to the person’s self-recognition on disability. Furthermore, the ways of treating disability can vary depending on families’ recognition on disability before the birth of the person with disability and their socioeconomic conditions. These factors influence the processes of the person’s self-identification as the disabled, and the identity acquired can differ depending on responses of family members toward disability. Family responses include 1) disability that must be overcome and brings sympathy and benevolence, 2) disability that must be concealed, 3) disability that is a tool for improvement of living, 4) disability that drives social resistance. Depending on responses, the person with disability can either accept the negatively recognized self-identity or accept the self-identity of active subject doing away with self-contempt.

목차

[국문초록]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연구 참여자
3. 이론적 논의 및 선행 연구 검토
4. 연구결과: 장애인 가족의 장애인식과 대응방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준기(Heo Jun Gi). (2016).장애 정체화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학회지, 1 (1), 5-32

MLA

허준기(Heo Jun Gi). "장애 정체화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학회지, 1.1(2016): 5-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