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장 내 왕따와 종업원 침묵: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2210

영문명
Workplace Wang-tta and Employee Silence: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elf-esteem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강대석(Dae-seok Kang) 김정은(Jeongeun Kim)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6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03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침묵을 ‘무(無)’ 이상의 의미를 지닌 행동으로 여김에 따라 오늘날 조직에서 종업원들의 침묵은 중요한 이슈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최근 들어 연구자들의 관심이 더욱 커지면서 통제위치, 권위적인 성격과 같은 개인 특성 및 최고경영진의 개방성, 상사신뢰 등 조직의 상황적 요인들이 침묵의 선행요인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상사나 동료들로부터 당하는 부당 대우, 소위 직장 내 왕따에 의해 침묵 행동이 나타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더구나 비교적 분명히 드러나는 신체적 위협인 괴롭힘(bullying)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직장 내 왕따가 어떻게 조직에 악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직장 내 왕따가 피해자들의 침묵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하나의 조절된 매개모델을 통해 검토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업무소외의 부분매개를 통해 왕따는 방어적, 체념적 침묵에는 긍정적, 친사회적 침묵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설화했다. 이들 간의 매개관계, 그리고 왕따와 업무소외 사이에서 자존감과 지각된 고용력에 따른 조절효과도 규명하고자 했다. 연구에 사용된 표본은 수도권에 위치한 4개의 공기업 및 8개의 중견기업에 근무하는 477명의 종업원들로부터 획득되었다. 구조모델링분석 결과, 직장 내 왕따는 피해자들의 방어적, 체념적 침묵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친사회적 침묵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업무소외는 이들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했다. 또한 PROCESS macro를 이용한 조절된 매개분석에서는 자존감만이 가설화된 관계들을 조절했던 반면, 지각된 고용력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직장에서의 왕따 경험은 개인의 신체/정신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해당 피해자로 하여금 맡은 일에 소극적이고 방어적인 태도로 임하게 해서 결국 조직성과에도 해를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Employee silence, a critical issue in most organizations today, is more than an absence of speaking up. Recent studies have identified a several types of predictors for silence behavior,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e.g. locus of control,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organizational context (e.g. top management openness, trust in supervisor). However, the imperative question of how interpersonal mistreatment at work influences employee silence has yet to be studied in full. Moreover, few studies have thoroughly accounted for how workplace wang-tta can induce silence behavior among employees. To address this issue, we hypothesized that wang-tta relates positively with acquiescent and defensive silence and negatively with prosocial silence via work alienation. We also predicted the moderating influences of self-esteem and employability perception on this mediated relationship. Participants included 477 employees across 4 public organizations and 8 mid-sized enterprises in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using PROCESS macro) were conducted to examine our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indicated that workplace wang-tta had a positive impact on acquiescent and defensive silence and a negative impact on prosocial silence. Work alien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wang-tta and the three silence types. Regarding moderation, self-esteem exacerb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ang-tta and work alienation, whereas perceived employability had no moderating effects. Furthermore, the path from workplace wang-tta to employee silence via work alienation was stronger when self-esteem was higher. These findings imply that workplace wang-tta not only has psychological costs to victims, but also harm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모형 및 가설 개발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대석(Dae-seok Kang),김정은(Jeongeun Kim). (2018).직장 내 왕따와 종업원 침묵: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사조직연구, 26 (3), 1-21

MLA

강대석(Dae-seok Kang),김정은(Jeongeun Kim). "직장 내 왕따와 종업원 침묵: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사조직연구, 26.3(2018):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