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study on the paleomagnetism of Southern Korea since permian

이용수 7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Kwang Ho Kim(金光浩) Bong Il Jeong(鄭鳳日)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19권 1호, 67~8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86.02.28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페름기 이후 한국의 고지자기를 연구하기 위하여 영춘면 남쪽 단양 북쪽의 고방산층, 녹암층, 반송층군 및 하부남포층군, 충남탄전 일대의 하부남포층군, 왜관-경산 및 대구-고령사이의 경산누층군, 제주도 및 전곡의 현무암으로부터 577개의 암석시료를 133개의 지점에서 채취하였다. 각 지점으로 부터 2~3개의 pilot specimen을 택하여 교류소자 실험과 열소자실험을 실시한 후 지질시대별 고지자기 방향을 구하였다. 페름기 이후 각 지질시대별 평균 고지자기 방향으로부터 apparent polar wandering path(APWP)를 구하였다. 본 연구로 부터 얻은 APWP는 쥬라기말에 큰 불연속을 보였다. 페름기이후 고지자기자료에 의하면 한반도는 페름기에 북위 13°±7°, 쥬라기초에 북위 25°±9°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그후 계속 북쪽으로 이동하여 쥬라기말에 아시아 대륙과 충돌 하였고, 이때 반시계 방향으로 약 70° 회전한 것으로 해석 되었다.

영문 초록

Oriented han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Gobangsan Formation and Nogam Formation in the north of Danyang and south of Yeongchun, from Bansong Group in and around Danyang, from Nampo Group in Chungnam Coalfield, from Gyeongsang Supergroup distributed from Waegwan through Daegu to Gyeongsan and from Daegu to Goryong, and from volcanic flows in Jeongog area and Jeju Island to study the paleomagnetism of southern Korea since Permian. Stepwise alternating field and thermal demagnetiz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optimum fields and temperatures. Observed mean paleomagnetic directions are as follows: D=331.5°, I=25.1°, a95=12.8° for Permian, D=325.6°, I=46.1°, a95=11.8° for Triassic, D=313.4°, I=43.1°, a95=16.0° for early Jurassic, D=41.3°, I=64.6°, a95=4.5° for early Cretaceous, D=28.3°, I=58.1°, a95=2.3° for late Cretaceous, D=2.0°, I=55.8°, a95=6.6° for Quaternary. To describe the tectonic translocation of southern Korean block, northern Eurasian continental block was used as a reference frame. For each age since Permian the expected northern Eurasian field directions in terms of paleolatitude and declination were calculated. The paleolatitudes of Permian (13.2°N) and early Jurassic (25.1°N) obtained from the study area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Permian (66.O°N) and early Jurassic (68.1°N) which are expected for northern Eurasia. The declinations of Permian (331.5°) and earIy Jurassic (313.4°) are also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ermian (56.6°) and the early jurassic (47.5°) expected for northern Eurasia. The Cretaceous paleolatitude is similar to the expected within error limit, but the declination for the same period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pected for the northern Eurasia. From the above evidences it is suggested that the south Korean land mass had moved from low latitude in Permian to north and sutured to northern continental block since early Jurassic. The relative rotations of early Cretaceous(27.4°) and late Cretaceous(10.8°) to northern Eurasian continent reveal that the Korean land mass might be rotated clockwise in two different times, probably in late Early Cretaceous and in Tertiary.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GEOLOGIC SETTINGS OF THE STUDIED AREAS
SAMPLE COLLECTION AND PALEOMAGNETIC MEASUREMENTS
PLATE TECTONIC INTERPRETATION OF RESULT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REFERENCES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Kwang Ho Kim(金光浩),Bong Il Jeong(鄭鳳日). (1986).A study on the paleomagnetism of Southern Korea since permian. 자원환경지질, 19 (1), 67-83

MLA

Kwang Ho Kim(金光浩),Bong Il Jeong(鄭鳳日). "A study on the paleomagnetism of Southern Korea since permian." 자원환경지질, 19.1(1986): 67-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