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Uranium occurrences in coaly meta-pelites in the Jinsan area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Se jung Chi(池世定) Se hyun Kim (金世鉉)Pyeong koo Lee(李匊 九)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18권 1호, 1~9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85.02.28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本 究硏는 忠南-진산일대의 沃川系 炭質黑色粘板岩에 賦存되는 우라늄分布의 特性과, 우라늄과 組成鑛物과의 關係를 밝히기 爲하여 시도되었다. 本 究硏地域으로 부터 채취된 시료중 40개의 시료를 택하여 鑛物學的 地化學的 究硏를 實施하고 콤퓨터(IBM 370)를 利用한 統計的 相關關係를 提示하였다. 우라늄과의 正의 相關關係를 갖는 광물은 有機炭素, 赤鐵鑛, 褐鐵鑛이며, 負의 相關關係를 갖는 鑛物은 石英, 白雲母, 불투명광석광물이다. 이중 가장 높은 正의 相關關係를 갖는 것은 有機炭素이며, 우라늄의 隨伴傾向은 71.4%이다. 우라늄 부존함량과 有機炭素와의 回歸方程式은 log(U₃O₈×10⁴+1) =-1.3447+2.5599 log(Organic corbon)으로 表示되고 추정표준오차 Sy값은 0.1498에 이른다. 이는 유기탄소를 부존시킨 地質환경은 역시 우라늄 침전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암시해 준다. 野外조사에 의하면 우라늄광물은 주로 黑色粘板岩中 炭質物內에 産出되고, 가끔 黑色粘板岩의 構造面上에 散點狀으로 分布하는데 후자의 경우는 우라늄 침전후의 二次的인 移動에 의한 것임을 암시해 준다. 重相關關係와 多邊數回歸分析을 通한 多元回歸方程式은 log=(U₃O₈×10⁴+1)=0.77396+0.04465 (organic carbon)+0.00574 (guartz)-0.00964 (muscovite)+0.37827(biotite)-0.02286 (clay substance)+0.01268 (other silicates)+0.1032 (barite)-0.00224 (apatite)+0.01606 (calcite)+0.08258 (hematite)-0.2406 (limonite)-0.01715 (other opagues)로 表示되고, 이에 의한 추정의 표준오차 Sy값은 0.1186이며 重相關關係의 값은 0.879이다. 따라서 多邊數回歸分析에서는 有機炭素만을 包含한 回歸方程式보다 수반경향이 5.89% 증가된다.

영문 초록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uranium distribution, and the correlation of the uranium content and major constituents in uraniferous black slates from the Jinsan area of Ogcheon Fold Terrain, forty representative specimens were analyzed by mineralogical and radiometric techniques.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the uranium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c carbon and limonite, but a negative relation to muscovite and other opaques. The relationship with the highest and meaningful correlation is between log uranium and organic carbon. The log uranium-organic carbon correlation coefficient is 0.845 and these two constituents have about 71.4% association. It suggests that the abundance of organic carbon controlled the uranium precipitation. The relationship of organic carbon to log uranium can be expressed by following regression equation log (U₃O₈×10⁴+1)=-1.3447+2.5599 log (organic carbon).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of different major components to log uranium is log (U₃O₈×10⁴+1)=0.77396+0.04465 (organic carbon)+0.00574 (quartz)-0.00964 (muscovite)+0.37827 (biotite)-0.02286 (clay substance)+0.01268 (other silicates)+0.1032 (barite)-0.00224 (apatite)+0.01606 (calcite)+0.08258 (hematite)-0.02406 (limonite)-0.01715 (other opaques).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SAMPLING AND TREATMENT
GENERAL GEOLOGY OF THE AREA
MINERALOGY AND URANIUM OCCURRENCE
CONSIDERATION
CONCLUSIONS
REFERENCES
要約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e jung Chi(池世定),Se hyun Kim,(金世鉉)Pyeong koo Lee(李匊,九). (1985).Uranium occurrences in coaly meta-pelites in the Jinsan area. 자원환경지질, 18 (1), 1-9

MLA

Se jung Chi(池世定),Se hyun Kim,(金世鉉)Pyeong koo Lee(李匊,九). "Uranium occurrences in coaly meta-pelites in the Jinsan area." 자원환경지질, 18.1(1985): 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