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호문화교육의 정교화를 위한 소고

이용수 160

영문명
A Widening of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education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difference and power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홍은영(Hong Eun Young)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2권 제1호, 102~119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다문화 및 상호문화교육 담론 내에서 지금까지 차이에 대한 인정 문제가 많이 다뤄지고 있지만, 차이에 대한 인정이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차이의 인정이라는 보편적 가치의 내적 모순을 고찰하고 차이와 권력 간의 밀접한 관계를 강조함으로써 상호문화교육을 정교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주체와 객체 간의 상호작용적 만남을 통해 차이 개념을 역동적으로 파악하려는 상호문화교육 자체도 개인을 구분하는 범주(예컨대 ‘문화’)를 사용하면서 자신의 의도와는 반대로 권력과 밀접하게 관련하고 사회적 불평등의 재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상호문화교육이 차이의 인정의 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차이를 드러내다보면 차이를 필연적으로 범주화하고 규정하는 긴장의 영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호문화교육 연구자들은 범주를 스스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기존의 상호문화교육이 추구하는 보편적 가치(차이의 인정, 평등과 연대)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비판적 상호문화교육의 전복적 가능성을 지배 담론의 지속적인 재정의에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begins with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situation, this theory does not equate to the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discourse and practice are hardly questioned in Korea societ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ask how mutual cultural education constitutes the difference that makes itself a starting point and how it is conceptualized it?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mphasiz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ce and power by examining the inner contradiction of universal value,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representation and identity, and post - feminism, Even the intercultural education approach to dynamically grasp the concept considers the aspects of social inequality that can result from the use of categories closely related to power and continually reviews their responses to categories that distinguish individuals continue it should be reviewed. Through intercultural education needs to recognize that is located in an area of tension that reveal differences inevitably look categorize the differences and regulations. In conclusion,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the subversive possibilities of critical intercultural education can be found in the continuing redefini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without abandoning the universal value pursued by the existing intercultural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정형화된 타자관
Ⅲ. 차이의 동일시 문제
Ⅳ. 상호문화성과 퀴어 이론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은영(Hong Eun Young). (2017).상호문화교육의 정교화를 위한 소고. 교육의 이론과 실천, 22 (1), 102-119

MLA

홍은영(Hong Eun Young). "상호문화교육의 정교화를 위한 소고." 교육의 이론과 실천, 22.1(2017): 102-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