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영향평가제도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95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Cultural Impact Assessment System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고정민(Jeong Min Ko) 박지혜(Ji Hye Park)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0권 제1호, 51~8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6년 문화영향평가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이슈와 문제점을 분석하고평가 단계별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문화영향평가제도를 시행함에 있어서 평가지표가 일반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점, 사전평가는 미비한 사업계획서와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부족하다는 점, 다양한 방법론 보다는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평가를 진행한 사례가 많다는 점, 평가척도와 가중치 적용의 문제점, 평가결과의 활용보다는 평가 그 자체에 다소 치중되어 있다는 점 등이 지적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먼저 평가기획단계에서는 사업시행 전, 사업진행, 사업완료 시점에 따라 평가결과를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을 도입하고, 또한 평가대상 정책ㆍ사업의 담당자와 평가기관이 공동으로 평가지표를 개발하며, 시스템다이내믹스와 같은 인과적 추론을 위한 지표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평가추진단계에서는 주민참여 다각화, 풍부한 사례조사, 계량적 방법론의 적용 등 복합적 방법론을 도입하고, 기술과 지식이 풍부한 전문가 평가단을 좀 더 운영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평가활용단계에서는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활용성을 제고시키면서,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철저하게 컨설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issues and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cultural impact assessment in 201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evaluation index of the cultural impact assessmen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the referring data and materials in the evaluation planning phase in the process of the cultural impact assessment are deficient, and the evaluation planning is based on surveys rather than various methods. And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evaluation scales and weighting, and they are focused on the evaluation itself rather than the feedback of the evaluation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evaluation planning phase, the different methods of comparing the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project execution, the project progress, and the completion time of the project should be adopted, and the project manager and the evaluation group participate developing the evaluation indicators together, and methodology for identifying causal relationship such as system dynamics will be adopted. In the stage of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methodology such as diverse residents participation, abundant case study, application of quantitative methodology, and the utilization of expert evaluation teams. In the evaluation feedback stag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orough consulting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Ⅲ. 문화영향평가제도의 현황
Ⅳ. 문화영향평가제도의 분석 및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정민(Jeong Min Ko),박지혜(Ji Hye Park). (2017).문화영향평가제도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문화경제연구, 20 (1), 51-80

MLA

고정민(Jeong Min Ko),박지혜(Ji Hye Park). "문화영향평가제도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문화경제연구, 20.1(2017): 5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