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교육과정 중1 국어 교과서 듣기 활동 분석

이용수 286

영문명
Analysis of Listening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2015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1st Grade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조재윤(Cho, Jaeyoon)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71집, 27~4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중1 국어 검정 교과서의 듣기 활동을 분석 기준에 따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기준을 ‘듣기 활동의 언어통합적 기능 반영 양상, 듣기 활동의 정체성 반영 양상, 2015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 성취기준 반영의 충실성’으로 설정하였다. 듣기 활동의 언어 통합적 기능 반영에 대한 분석 결과, ‘듣기+말하기(L+S)’ 27.4%, ‘읽기+쓰기(R+W)’ 22.4%, ‘듣기+말하기+쓰기(L+S+W)’ 20.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R+W’는 ‘듣기’ 정체성을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수정⋅보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듣기 활동의 정체성 양상에 대한 분석 결과, ‘듣기 활동의 정체성 미흡’ 사례수가 ‘우수’ 사례보다 훨씬 많게 나타났는데, 이는 ‘듣기 교육’의 특성 측면에서 적절하지않다. 앞으로 교과서 내용 선정 및 조직에서 ‘듣기 활동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듣기⋅말하기 영역 성취기준 반영의 충실성에 대한 분석 결과, [9국 01-10]와 [9국01-12]에 대하여 충실하지 못한 교과서가 있었다. 성취기준을 교과서에 반영할 때는 목표로 제시하고, 그에 따른 학습 활동, 학습 분량까지 충실하게 선정⋅조직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중1 교과서를 현장에 적용하는 교사들에게 ‘교수⋅학습 수준의 교육과정(교실 실행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도움 자료, 앞으로 개발될 2015 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 교과서 개발의 방향 및 방법에 대한 참고 자료로서 교육적 함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 listening activitie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analytical criteria were set as the aspect of the listening activity to reflect the language-integrated skills to some extent, the aspect of the identity reflection of the listening activities, and the fulfillment of reflecting the listening⋅speaking standard of the 2015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nguistic integration of listening activities, L+S 27.4%, R+W and L+S+W were 22.4% and 20.6%, respectively. In particular, R+W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listening , so it can be said that it needs to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spect of the identity of listening activities, the number of lack of identity of listening activities cases was much higher than excellent cases, which is not appropriate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listening education .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elect the textbook contents and organize the identity of listening activities . In the analysis of the fulfillment of the listening and speaking achievement standard, there were textbooks that were not faithful to [9th Korean 01-10] and [9th Korean 01-12] . When the achievement standard is reflected in the textbook, it should be presented as a goals, and the learning activities and the amount of learning should be faithfully selected and organized. This study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as currently, teachers who apply one of the textbooks to the field are asked to provide help materi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level curriculum , and references to development directions and methods of third grade textbooks of middle school in 2015 curriculum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듣기 활동 분석기준 설정
Ⅴ. 중1 교과서 듣기활동 분석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재윤(Cho, Jaeyoon). (2018).2015 교육과정 중1 국어 교과서 듣기 활동 분석. 교육연구, 71 , 27-47

MLA

조재윤(Cho, Jaeyoon). "2015 교육과정 중1 국어 교과서 듣기 활동 분석." 교육연구, 71.(2018): 27-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