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周易》의 상징체계와 程頤 《易傳》의 의리역학

이용수 64

영문명
The Symbolic System of the I Ching and the Moral-Principle Theory of Ch’eng I’s I Chuan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엄연석(Eom Yeon seok)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21집, 241~27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괘효의 상과 괘효사의 의미를 중심으로 하는 《주역》의 상징체계가 가지는 상관적 관계를 검토하고, 정이(程頣)가 《주역》을 해석한 철학적 근거 및 《주역》 해석의 특징은 무엇이며, 이것이 역철학사에서 어떠한 의의를 가지는가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정이는 《주역》을 무엇보다도 도덕적 실천 원리로서 리(理)를 강조하는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그는 <서괘전(序卦傳>을 중시하여 <서괘전>에서 언급하는 괘의 순서가 자연과 인사의 변화의 리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특히 정이는 <서괘전>에서 괘와 괘 사이의 순서를 필연적인 것으로 연결시키고 있는 것이 자연의 인과법칙과 인간의 당위법칙을 포괄하는 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다른 한편, 정이는 유가적 실천 규범으로서 의리 를 도출해 내는 관점에서 괘효사의 의미 를 해석하는데, 이를 위하여 그는 괘의 일반적 의미를 취하고[取義論] 이 의미를 구체적 상황에서 실현시키는 방법론에 근거하여 《주역》 괘효사를 해석하고 있다. 그는 괘의 의미는 괘명(卦名), 쾌상(卦象), 괘덕(卦德), 물상(物象)의 기능 등으로부터 연역되는 것으로 보았다. 반면 한 괘의 보편적 의미는 특정한 효의 구체적인 국면에서 특수하게 실현된다. 이를 위하여 정이는 수시취의설(隨時取義說)을 제시하여 괘(卦)와 효(爻)의 상황[時]을 중시하고 있다. 이러한 괘시(卦時)와 효시(爻時)의 상황에 있는 괘효의 의미를 그는 중정(中正), 비응(比應), 효위(爻位), 주효(主爻) 등의 의리역학적 해석 방법에 따라 그 실천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정이의 역학이론은 왕필(王弼) 이래의 도가적 의리역학을 유가적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정이의 《주역》 해석은 의리역학의 전통에서 유가적 경세론과 리 본체론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의 형이상학을 역학적으로 정초지웠다는 의미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essay intendes to examine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the symbol of hexagram-lines and judgement of hexagrams, an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characteristic by which Ch eng I interpreted I Ching. And this essay tries to explain which meaning Ch eng I s I Chuan has in the phlosophical history of I Ching. At first, Ch eng I interpreted the Book of Changes in relation with li(the principle) as moral rule of practice. he emphasized Commentary on the Order of the Hexagram(Hsu Kua Chuan序卦傳) as the formal basis for constructing the meaning. Hsu Kua Chuan reflecrs both the regulative li of natural phenomena and normative li of human affairs. And in Ch eng I s moral-principle theory of the Book of Changes what is important is to construct a universal meaning of hexagram. In order to construct a universal meaning Ch eng I first begins by observing both the images of trigrams and its virtue or quality, and obtaining an impression of them. And thereafter, he interprets the sentence of hexagram and line from the moral and normative perspective. Lastly, he transformes the sixty-four hexagrams into a total and comprehensive structure which components are bound to one another within a meaningful relationship. Particularly, Ch eng I s construction of hexagram-meaning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he sets out to provide a standard for Confucian moral rule and conduct. Moreover, to account for the transformational phase of hexagram within the context of a specific time or circumstance, he establishes the theory of timely applied meaning. Here, Ch eng I stressed the theory of chung cheng中正, pi ying比應, hisao wei爻位, and chu hsiao主爻 in order that the universal meaning may be realized as a particular meaning. Also, to delve into the universal ground of the total meaningof a hexagram, Ch eng I argued on the theory of hexagram-transformation. An inportant characteristic trait of his theory of hexagram-transformation consist in his understandig that the ultimate ground for the changes in things and affairs lies in the purposeful perspective in accordance with the human valuating judgement. In Ch eng I, the agent of hexagram transformation lies in which is regarded as the ultimate standard enabling human beings to conduct the golden mean中庸. Ch eng I s theory of the Book of Changes regards the Tao道, the metaphysical heritage inherited from Taoism as the ground which enables the man to conduct the Confucian moral rule. Ch eng I s li(the principle) is just the ultimate foundation of normative moral law. In conclusion, his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Changes follows a Confucian moral point of view. And hie theory comes to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Chu Hsi and many other scholars after him.

목차

요약문
서론
1. 《周易》 괘효와 괘효사
2. 《周易》의 象과 의미
3. 程頤 《易傳》의 易學史的 背景
4. 程頤 《易傳》의 卦爻辭 해석과 의리
5. 程頤 《易傳》의 卦變說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연석(Eom Yeon seok). (2005).《周易》의 상징체계와 程頤 《易傳》의 의리역학. 태동고전연구, 21 , 241-277

MLA

엄연석(Eom Yeon seok). "《周易》의 상징체계와 程頤 《易傳》의 의리역학." 태동고전연구, 21.(2005): 241-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