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이용수 22

영문명
Chungam Kim Pyeongmuk s associative recognition between classical studies and governance theory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금장태(Keum Jang-tae)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27집, 1~46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요약> 김평묵( 金 , 1819~1891)은 이항로( )의 제자 로서 19세기 후반 조선왕조 말기의 변혁하는 시대를 살면서 조선시대 주자학의 전통을 수호하였던 보수적 유학자이다. 그는 경학연구에 관심을 집중하였던 것도 아니고, 경세론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던 것도 아니다. 그러나 그의 사상체계는 경전을 떠나서는 심성론과 수양론이나 의리론과 경세론이 성립할 수없다는 유교의 기본전제 위에 수립된 것이다. 김평묵의 경세론은 《대학》에서 ‘명명덕( 德)’의 심성론이 ‘신민( )’ 의 경세론으로 확장되는 질서를 전제로 한다. 그러나 그는 유교전통이 붕괴하는 역사적 변동기를 살면서, 불변의 기준으로서 ‘상( )’에 대비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는 ‘권(權)’을 제시함으로써 급변하는 시대의 대응논리를 찾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평묵은 여전히 중국중심의 ‘중화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위정척사( )’의 의리도 배타적 저항논리에 사로잡혀 사회변화를 이끌어갈 수 있는 논리를 찾아내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었던 것이 사실이다.

영문 초록

Kim Pyeongmuk, a Lee Hang Ro s disciple, is a conservative Confucianist who observed Zhu Xi`s Thought in Late Chosun dynasty. He didn t focused on classical studies, nor left an academic legacy of governance theory. But his system of thought is based on basic premise : human nature theory, self-cultivation theory, righteousness theory, and governance theory are not comprisable without classics. Governance theory of Kim Pyeongmuk is on the assumption that míngmíngdé 德 s human nature theory is extended to Xīnmín s governance theory in the Great Learning. But by showing the quán權 that copes with situations in contrast to cháng-constant standard, he was searching for correspondence theory to that rapidly changing world situation. Nevertheless, Kim Pyeongmuk didn t break away from Joongwha Ideology and was captured by the Ideology of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Because of these limits of him, he coundn t find the theory that leading social change.

목차

1. 김평묵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문제
2. 경전이해의 도학적 관점
1)도통론적 경전인식과 ‘ ’의 확인
2)《近 》의 존숭과 고증적 경전분석의 거부
3. 해석과 경세론적 이해
1) 《대학》·《중용》 해석의 경세론적 성격
2) 《논어》·《맹자》의 경세론적 이해
4. 經 해석과 경세론적 이해
1) 經의 경세론적 이해
2) 의 인식과 경학적 활용
5. 《 道 》의 경세론과 경학적 활용
6. 김평묵의 경학과 경세론 인식이 지닌 의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금장태(Keum Jang-tae). (2011).중암 김평묵(重菴 金平?)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태동고전연구, 27 , 1-46

MLA

금장태(Keum Jang-tae).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태동고전연구, 27.(2011): 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