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李滉의 相須互發說에 대한 재검토

이용수 69

영문명
Restudying of the concept of ho-bal and sang-su of Yi Hwang s philosophy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최천식(Choe Cheon-sik)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28집, 1~3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황의 철학은 ‘리발(理發)도 있고 기발(氣發)도 있다’는 의미인 호발설(互 發說)에 그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황의 호발설은, ‘리와 기가 합해져서 마음이 되고 정(情)이 된다’는 의미인 상수설(相須說)을 전제로 한 것이다. 이황 철학의 근간이 되는 상수설을 간과한 채 호발설에서 이황 철학의 특징을 찾으려고 하면, “이황은 불상잡(不相雜)을 강조했고 기대승은 불상리(不相離)를 강조했다”, “이황이 말하는 리는 홀로 활동하는 리이다”, “기대승의 초기 견해는 이황과 다르지만 후기 견해는 이황과 같다” 등등의 많은 오해를 낳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성혼(成渾)의 호발설이 기대승의 후기 견해와 마찬가지로 ‘상수를 부정하는 호발설’임을 파악할 수 없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이익 (李瀷)의 철학이 이황의 상수설을 계승하면서도 이황의 호발설을 폐기한 철학임을 파악할 수 없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황의 호발설이 상수설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이러한 오류들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호발설은 심성론에 속하고 상수설은 그것을 논리적으로 합리화하는 이기론에 속하는 것이어서, 호발에 대한 견해 차이보다 상수에 대한 견해 차이가 더 본질적인 차이점을 드러낸다. 이황의 호발설이 이황 철학의 꽃이라면 이황의 상수설은 이황 철학의 뿌리에 해당한다.

영문 초록

The main characteristic of Yi Hwang(李滉) s philosophy can be nailed down to his proposition of ho-bal/alternating issuance (互發說, HB hereafter), arguing that there is li-issuance(理發) as well as ki-issuance(氣發). HB, however, is built on the premise called sang-su/mutual need (相須說, SS hereafter), explaining that li, only when put together with ki, does turn into mind and feeling. HB accounts for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while SS is essentially the theory of li and ki, which provides a underlying theoretical construction of mind and nature; in this regard, different opinions on SS is more fundamental than those on HB. To illustrate, if HB is the flower Yi Hwang s philosophy, SS is its root. Delving right into Yi Hwang s HB while overlooking SS that buttresses his philosophy as a whole, one cannot but be misled in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Yi Hwang s philosophy; to name a few, Yi Hwang stressed on li and ki cannot be mingled (不相雜)‘ while Ki Daeseung (奇大升) stressed on li and ki cannot be separated (不相離). ; Yi Hwang s li by itself possesses mobility ; although Ki Daeseung s earlier opinion differs from that of Yi Hwang, later one finally agrees with Yi, etc. Besides, by failing to understand such a relationship between SS and HB in Yi Hwang s philosophy one cannnot see first that Seonghun(成渾) s theory of HB, just like Ki Daeseung s later thoughts, is one that negates SS while holding HB. Neither can one grasp that, Yi Ik(李瀷) s philosophy, on the contrary, is one that succeeds Yi Hwang s SS while discarding HB. This article aims at correcting such misled conclusions by analyzing the fact that Yi Hwang s HB is based on SS.

목차

1. 머리말
2. 相須와 互發
1) 理發而氣隨之ㆍ氣發而理乘之
2) 기대승의 반론에 대한 검토
3) 이황이 밝힌 기대승과의 차이점
3. 理氣不相離에 대한 해석의 차이
1) 人乘馬와 水中月의 비유
2) 마음은 이와 기의 합이다
3) 理動과 理到
4. 기대승의 「後說」과 「總論」
1) 擴充
2) 철학사의 맥락에서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천식(Choe Cheon-sik). (2012).李滉의 相須互發說에 대한 재검토. 태동고전연구, 28 , 1-33

MLA

최천식(Choe Cheon-sik). "李滉의 相須互發說에 대한 재검토." 태동고전연구, 28.(2012): 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