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Fat Amount Ratio 측정 시 호흡 표준화에 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Respiratory Function in Estimating Fat Amount Ratio with Computed Tomography
- 발행기관
- 대한CT영상기술학회
- 저자명
- 김서현(Seo Hyeon Kim) 유지은(Ji Eun You) 권순안(Sun Ahn Kwon) 민관홍(Kwan Hong Min)
- 간행물 정보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지 제18권 제1호, 77~8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Abdomen Fat CT 검사시 호흡에 따른 비만도 변화가 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호흡 조절의 표준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및방법 : 2015년 3월부터 5월까지 본원을 내원한 환자 중 Abdomen Fat CT를 시행한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T장비는 Brilliance iCT(256 slice MDCT, Philips healthcare, Cleveland, OH, USA)를 이용하여,실험 대상군을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이하 BMI)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고 호흡 유형은 복식호흡으로 흡기와 호기 두번의 Fat CT를 시행하였다. scan 범위는 Umbilicus를 중심으로 L4~5로 하고, 각각의 scan한 영상은 Aquarius iNtuition Version 4.4(이하 A workstation)와 IntelliSpace Portal(ISP) Version 4.0(이하 B workstation)을 사용하여 비만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A workstation 을 이용하여 1장의 단면 영상으로, B workstation 을 이용하여 8장의 volume영상으로 만들어Hounsfield number -250 ~ -50에 속하는 총 복부 지방면적(total abdominal fat area)을 복부와 배부의 복막을 경계로 안쪽을 내장 지방 조직(visceral fat tissue), 바깥쪽을 피하 지방 조직(subcutaneous fat tissue)으로 나누어 내장지방면적(Visceral Fat Area : VFA), 피하지방면적(Subcutaneous Fat Area : SFA)을 측정하였고, 측정한 값들을 이용하여 내장지방/피하지방 면적 비(Visceral-Subcutaneous Fat Ratio, 이하VSR)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통계 프로그램 SPSSWIN 21.0와 T-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으며, p<0.5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 하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
1. A workstation : 저체중 군에서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21.9±17.8㎠, 21.9±13.9%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SFA는평균면적 -3.2±8.3㎠, 3.8±9.3% 증가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VSR은 0.28±0.26, 23.9±16.9%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상 체중 군에서는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21.7±7.1㎠, 19.4±8.4%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SFA는 -1.5±6.4㎠, 1.3±8.9% 증가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VSR 은 0.21±0.1,21.4±9.2%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과 체중 군에서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21.2±21.9㎠, 15.2±16.2%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SFA는 평균면적 -0.4±3.5㎠, 0.1±3.1% 증가, VSR은 0.16±0.22, 14.9±18.3%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 및 고도비만 군에서는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25.7±21.3㎠, 14.8±11.9%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1), SFA는 -0.7±7.7㎠, 0.6±3.3% 증가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VSR 은 0.17±0.15, 15.1±13.2%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B workstation : 저 체중 군에서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43.9±40.5cc, 24.4±13.3%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SFA는 평균면적 -9.5±8.7cc, 4.2±3.1% 증가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VSR은 0.28±0.27, 27.2±14.7%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상 체중 군에서는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47.0±12.9cc, 22.9±6.7%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SFA는 -12.2±3.3cc, 3.9±0.9% 증가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VSR 은 0.23±0.14,23.5±7.5%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과 체중 군에서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49.4±36.8cc, 19.0±12.8%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SFA는 -15.5±6.9cc, 5.4±4.3% 증가(p<0.01), VSR은 0.20±0.15, 23.0±12.8%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비만 및 고도비만 군에서는 VFA는 흡기보다 호기에서 평균면적 58.0±49.9cc,16.4±10.9% 감소로 유의한차이가 있었고(p<0.05), SFA는 -10.7±16.2cc, 2.6±2.9% 증가(p<0.001), VSR 은 0.18±0.15, 18.4±12.1% 감소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론 : BMI에 따른 4개의 군에서 단면 영상의 비만도 측정은 흡기와 호기의 VFA가 18.4%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SFA는 1.4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볼륨 영상의 비만도 측정은 VFA가20.7%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SFA는 저 체중 군과 정상 체중 군에서는 4.2%와 3.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과 체중과 비만 및 고도비만 군에서는 5.4%와 2.6%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Abdomen Fat CT를 이용한 비만도 측정에서 흡기시호기보다 내장지방면적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정확한 비만도 측정을 위해서는 호흡의 표준화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o suggests the standardization of respiratory function and how Abdomen Fat CT examination influences on the diagnosis of obesity variation depending on respir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he target was 40 adults of Abdomen Fat CT examination was performed among the adults visited the above hospital for March 2015 ~ May 2015.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4 subgroup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to scan the inspiration image and expiration image for 2 times of Fat CT with CT such as Brilliance iCT(256 slice MDCT, Philips healthcare, Cleveland, OH, USA) and to let the subgroups breath from the abdomen. For the examination, the author lets scan covered L4~6 on the basis of Umbilicus and estimated BMI with Aquarius iNtuition Version 4.4(A workstation) and IntelliSpace Portal(ISP) Version 4.0(B workstation) to calculated VFA, VFA, VSR (Visceral vs. Subcutaneous Fat Rate). Also, the author compared and analyzed the images with a statistic program such as SPSS/WIN 21.0 and T-test, and determined that the result related to the images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case the result was p<0.5.
Results
1. A workstation : In underweight group, VFA reduced 21.9±17.8㎠ (21.9±13.9%)(p<0.05). SFA increased -3.2±8.3㎠ (3.8±9.3%),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VSR decreased 0.28 ±0.26㎠ (23.9±16.9%)(p<0.05). In normal weight group, VFA decreased 21.7±7.1㎠ (19.4± 8.4%)(p<0.05), SFA increased -1.5±6.4㎠ (1.3±8.9%),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VSR decreased 0.21±0.1㎠ (21.4±9.2%) (p<0.05).In overweight group, VFA decreased 21.2±21.9 ㎠(15.2±16.2%)(p<0.05), SFA increased -0.4±3.5㎠(0.1±3.1%), VSR decreased 0.16±0.22㎠ (14.9±18.3%),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obesity and extreme obesity group, VFA decreased 25.7±21.3㎠ (14.8±11.9%)(p<0.001), SFA increased -0.7±7.7㎠ (0.6±3.3%),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VSR decreased 0.17±0.15㎠ (15.1±13.2%)(p<0.001).
2. B workstation : In underweight group, VFA decreased 43.9±40.5cc (24.4±13.3%)(p<0.05), SFA increased -9.5±8.7cc (4.2±3.1%),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VSR decreased 0.28 ±0.27cc (27.2±14.7%)(p<0.05). In normal weight group, VFA decreased 47.0±12.9cc(22.9 ±6.7%)(p<0.05), SFA increased -12.2±3.3cc (3.9±0.9%),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VSR decreased 0.23±0.14cc (23.5±7.5%)(p<0.05).In overweight group, VFA decreased 49.4±36.8cc (19.0±12.8%)(p<0.001), SFA increased -15.5±6.9cc (5.4±4.3%) (p<0.01), VSR decreased 0.20 ±0.15cc (23.0±12.8%)(p<0.01).In obesity and extreme obesity group, VFA decreased 58.0 ±49.9cc (16.4±10.9%)(p<0.05), SFA increased -10.7±16.2cc (2.6±2.9%) (p<0.001), VSR decreased 0.18±0.15cc (18.4±12.1%)(p<0.001).
Conclusion : In estimating BMI of profile images for 4 groups in accordance with BMI, VFA showed a significant percentage as 18.4% (p<0.05), and SFA showed an insignificant percentage as 1.45% during inspiration period and expiration period. In estimating BMI of volume image, VFA showed a significant percentage as 20.7% (p<0.05), and SFA showed 2 insignificant percentages as 4.2% and 3.9%, respectively, in underweight group and normal weight group during inspiration period and expiration period. Also, in overweight group and extreme obesity group, VFA and SFA showed 2 insignificant percentages as 5.4% and 2.6%, respectively, during inspiration period and expiration period (p<0.01). In estimating BMI with Abdomen Fat CT, VFA was more decreased during expiration period than during inspiration period. Therefore, the standardization of respiratory function is required by all means for exact BMI estima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T contrast 검사 시 중심 정맥관을 이용한 조영제 사용에 대한 연구
- CT pulmonary vein 검사 시 개선된 protocol을 사용함으로써 환자 피폭 선량과 Noise 변화에 대한 연구
- Noise Index 변화에 따른 환자 선량 최적화에 관한 연구
- 외상성 환자 CT검사시 팔 위치에 따른 화질 및 영상평가
- CT 조영검사 시 적정한 조영제 온도 설정을 위한 온장고 온도 및 가온시간에 관한 연구
- C-Spine CT 검사 시 Reference mAs 변화에 따른 화질평가와 선량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말초정맥IV Route확보가 어려운 환자의 복부동맥기영상의 조영증강에 관한 연구
- 환자의 키를 이용한 요관 길이 추측과 3D workstation을 이용한 요관 길이 측정과의 비교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소아 Brain CT에서 회백질-백질 간 대조도에서 120kVp와 비교한 80kVp의 유용성 평가
- AEC(Automatic Exposure Control) 사용 시 Scout 영상에 포함 되지 않은 부분이 방사선 선량 및 영상에 미치는 영향
- 소아CT검사의 최적화에 대한 이해
-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한 Fat Amount Ratio 측정 시 호흡 표준화에 대한 연구
- CT Head angiography검사에서 pre contrast scan의 선량저감에 따른 Neuro DSA 영상평가에 관한 연구
- 지식기반 반복 재구성 기술(Knowledge-based Iterative Model Reconstruction)을 적용 했을 때 선량 감소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CT contrast 검사 시 중심 정맥관을 이용한 조영제 사용에 대한 연구
-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폐 우좌단락 전신검사에서 관심영역의 설정방법 및 배후 방사능 보정 유무에 따른 단락률 차이의 비교
- 폐 환기/관류 검사에서 2D 단면영상과 SPECT/CT를 이용한 Auto Lung 3D 영상에서 섭취율 정량평가 비교에 관한 연구
- 선형무역치모델(Linear No Threshold Model, LNT)의 이해와 핵의학과 종사자의 방사선방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