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보디자인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용수 349

영문명
Understanding of Visual storytelling in Information design
발행기관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저자명
최향지(Hyang ji choi) 류시천(Sicheon You)
간행물 정보
『스마트미디어저널』Vol3, No.2, 29~36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컴퓨터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간은 어떤 대상을 지각할 때 그 대상의 특정 부분을 인식하기보다 전체적인 특정을 먼저 지각한다. 따라서 정보디자인의 주요 이슈인 ‘정보조직화’, ‘정보시각화’ 과정에서 디자이너가 전달하고자 전체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인과관계에 기초한 서사적 정보 표현 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사적 정보 표현 방식과 관련하여 정보디자인 영역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첫째, 비주얼 스토리텔링은 내러티브, 시각 커뮤니케이션 촉매, 상호작용성의 세 가지 역할을 담당한다. 내러티브는 정보의 인과관계에 의해 생성되는 흐름(f]ow)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정보 이해과정에서 정보에 스토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둘째, 정보디자인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은 정보의 구조(story)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표현을 활용해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이것을 시각 커뮤니케이션 촉매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통해 정보조직화와 정보시각화 단계를 거친 정보디자인은 정보사용자에게 경험요소를 제공하는데 이 과정에서 상호작용성이 발생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정보디자인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의미를 파악하고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역할을 이해함으로써 정보사용자의 시각적 인지력과 기억력을 높여 정보에 내재된 메시지 전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근 방법의 기초를 제한 것이다.

영문 초록

Human beings in their perception of the objects perceiv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first rather than any parts of the object.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structuralization’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he methods of narrative information representation based on a relationship of cause and effect in order to express effectively the whole messages which designers want to deliver.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concept of narrative information representation, we reviewed the meanings of the visual storytelling.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visual storytelling has the three key roles which are ‘narrative’, ‘visual communication catalyst’, ‘interacting’. First, the narrative describes the information logistics flow and it has a role to provide a specific story into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users’ information understanding. Second, in the information design, the visual story telling not only expresses the information structure(story) but also uses the visual expressions to deliver the specific message, which is called visual communication catalyst. Third, the information design goes through the information structur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stages through the visual storytelling to provide the experience factors to the information users, which is called the interactivity. The research implication is to provide the basis developing an approach method which is able to convey information messages effectively by improving information users’ visual cognition and raising information users’ memory.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의미
3. 전문분야별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정보디자인 원리에서 접근 유형별 특징
4. 정보디자인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이해
5.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향지(Hyang ji choi),류시천(Sicheon You). (2014).정보디자인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이해. 스마트미디어저널, 3 (2), 29-36

MLA

최향지(Hyang ji choi),류시천(Sicheon You). "정보디자인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이해." 스마트미디어저널, 3.2(2014): 29-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