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南北國論 형성의 논리적 과정 검토

이용수 211

영문명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허태용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52집, 127~16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유득공의 남북국론이 한백겸에게서 시작된 이원적 자국사 인식에 그 논리적인 기원을 두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 위해서 작성되었다. 조선의 건국과 함께 자국사의 범주 속에서 제외되었던 발해는 임진왜란 이후 다시 주목되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이백 년 만의 외침이 조선의 지배층들에게 자강의 필요성을 일깨웠기 때문이다. 특히 한백겸은 외침의 근본적인 원인이 고구려의 영토를 상실한 데에 있다는 분석을 내리면서 고구려의 영토를 만주지역까지 확대하였고 그 영토가 발해에게 넘어갔다는 언급을 함으로써 고구려와 발해의 영토적 계승성을 인정하였다. 동시에 자국사를 남북의 이원적인 흐름으로 정리하면서 삼한과 삼국의 맞대응 관념을 부정하였다. 자국사를 이원적으로 보는 인식은 이후 남방적 전개를 강조하는 흐름과 북방적 전개를 강조하는 흐름으로 분기되었다. 이익과 안정복으로 대표되는 전자의 경우는 마한정통론과 결부되면서 기자조선, 마한, `통일신라` 중심의 역사인식으로 구체화되었는데 이런 인식하에서 발해는 자국사의 범주에서 제외되었다. 이종휘로 대표되는 후자의 경우는 고구려가 기자조선의 영토·문화적인 계승자임을 부각하여 고구려를 유교적인 측면에서 높이 평가한 반면 신라는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와 동시에 고구려를 매개로 해서 발해를 기자조선의 계승국으로 규정함으로써 자국사의 흐름 속에서 발해의 위상을 전례 없이 강화하였다. 이 두 가지 방향의 역사인식을 수렴한 지점 위에서 유득공의 남북국론이 형성될 수 있었다. 그는 이종휘에게서 고구려 중심의 자국사 인식과 발해의 고구려 계승 관념을 이어받으면서도 전통적인 남방 중심의 역사인식을 통합해서 발해와 신라를 대등하게 인식하는 남북국론을 제시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written to examine the logical origin and lineage of Nambukgukron by Yu Deuk-Gong (柳得恭, 1748~1807). Balhae, which had been ruled out from category of Dongguk history (東國史)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was renoticed by some ruling-class figures because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made the ruling class figures realize the necessity of strenuous military efforts. For example, Han, Baek-Gyeom (韓百謙, 1552~1615) thought that the basic cause of the frequent invasions by foreign countries come from the loss of Goguryeo`s northern Manchuria territory in the 7th century; he wrote that Goguryeo`s northern Manchuria territory was succeeded to Balhae. This means that there was intimate connection between Goguryeo and Balhae in terms of territory, in contrast to the notion of the ruling class figures in the first half of Joseon period, who thought that Goguryeo`s northern territory did not include Manchuria. Furthermore, Han Baekgyeom organized Dongguk history into two courses, the first was a northern course which unfolded in the old Joseon (古朝鮮) territory, and the second was a southern course which unfolded in the Samhan (三韓) territory. Academic descendants who accepted Han Baek-Gyeom`s notion of Dongguk history sought to bifurcate the two streams, one focused on the southern course, and the other focused on the northern course. Yi Ik (李瀷, 1681~1763) and An Jeong-Bok (安鼎福, 1712~1791) stressed the southern course, as they thought the blood descendants of Gija (箕子), the historical symbol of Sino-centrism, were linked with the southern kingdoms of Mahan (馬韓) and Unified Silla (統一新羅). In this sense, they did not include Balhae in Dongguk history. On the other hand, Yi Jong-Hwi (李種徽, 1731~1797) stressed the northern course, as he thought the territory descendants of Gija were Balhae as well as Goguryeo. In this thinking, he not only esteemed Balhae in terms of Confucian virtue but also regarded Balhae as a lesser version of Zhonghua (中華) whereas he rated Silla poorly. Yu Deukgong`s Nambukgukron could be designed by converging these two types of historical notions. He inherited the historical notion of stressing the northern course from Yi Jong-Hwi and admitted the traditional historical notion of stressing the southern course at the same tim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태용. (2010).조선후기 南北國論 형성의 논리적 과정 검토. 동방학지, 152 , 127-162

MLA

허태용. "조선후기 南北國論 형성의 논리적 과정 검토." 동방학지, 152.(2010): 127-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