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민지권력의 도시 개발과 전통적 상징공간의 훼손을 둘러싼 갈등의 양상 및 의미 -‘京城市區改修 제6호선’의 사례 분석-

이용수 166

영문명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염복규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52집, 301~33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성시구개수의 목적은 한양 정도 이래 500여년의 역사가 축적된 경성 도심부의 도로망을 근대적 격자형 공간구조로 재편하고자 한 것이었다. 따라서 시구개수의 전개는 기존의 전통적 공간질서와 충돌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충돌을 뚜렷하게 볼 수 있는 사례로 시구개수 제6호선(현재의 율곡로)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제6호선은 전통적으로는 `도로여서는 안되는 곳`인 창덕궁·창경궁과 종묘 사이 통과 구간을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6호선 부설을 둘러싼 갈등 구도에 대한 현재의 통설은 이것은 식민지권력이 민족의 맥을 절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설한 것이며 당대 조선인은 이 도로의 부설에 부정적이었다는 것이다. 창덕궁·창경궁과 종묘 사이 통과 구간의 도로 부설은 1922년 최초의 도로 예정선 측량을 시도한 이래 1932년 준공 때까지 10여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렇게 긴 시간이 소요된 이유는 그만큼 이 구간의 도로 부설을 둘러싼 논란이 많았기 때문이다. 도로 부설을 시도한 식민지권력의 논리는 `교통의 편리`라는 근대적 기준이었다. 그리고 도로 부설에 지속적으로 반대한 순종 등 구왕실의 논리는 조선왕조의 핵심적 상징인 종묘의 존엄을 훼손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조선어 언론은 통설과 달리 식민지권력과 `교통의 편리`라는 `근대적 기준`을 공유하고 있었다. 심지어 이제 시대가 변했으니 종묘를 개방하여 공원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이상에서 현재의 통설은 식민지시기 제6호선 부설의 경위에 대해 당시에 실재하지 않은 단일한 민족적 정서를 `상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 남겨진 식민지유산의 실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이러한 `상상`이 `상상`에 불과함을 밝히는 데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he aim of the Kyongseong City Street Improvement project was to reorganize the road network of the ex-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which had been increasingly complicated due to its history of more than 500 years as a capital, into a modern grid pattern. Therefore, the project inevitably provoked a conflict with tradition. One good example was the case of Line No. 6 on the blueprint of the project, which corresponds to the present Yulgongno. The sixth line brought about such disagreement because the line ran through the route between two palaces―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and Jongmyo, the shrin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refore was respected as a sacred place where a road should not run through. The conventional view of this conflict held by contemporary historians was that the road-building project through the formerly revered section was intended to insult the tradition of the fallen dynasty by the colonial government. Hence, the Korean people were unequivocally against the plan. The roadway between the two palaces and Jongmyo took ten years to build starting in 1922, when the first survey for the intended road was carried out, to 1932, when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d. It was controversy on the roadway that delayed its construction. The main argument of the colonial power elite was for the promotion of the convenience of modern transportation. The counter argument of the old royal family, headed by Soonjong (純宗), the last king of Joseon, was they would not ignore the impending vandalizing of the dignity of Jongmyo,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core symbol of the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language press shared the modern value of convenient transportation with the colonialists. Even some Korean columnists insisted that a changed time required the opening of Jongmyo to the public, proposing to transform it into a park. Analyzing these three views on this controversial plan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assumption of the national sentiment shared by all Korean people under the colonialist rule, which provided the basis of the conventional theory, did not exist in reality and was hence imagined. To grasp the reality of remnants from the colonial era, the starting point should be to call a figment of the imagination what it truly i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복규. (2010).식민지권력의 도시 개발과 전통적 상징공간의 훼손을 둘러싼 갈등의 양상 및 의미 -‘京城市區改修 제6호선’의 사례 분석-. 동방학지, 152 , 301-337

MLA

염복규. "식민지권력의 도시 개발과 전통적 상징공간의 훼손을 둘러싼 갈등의 양상 및 의미 -‘京城市區改修 제6호선’의 사례 분석-." 동방학지, 152.(2010): 301-3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