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화, 천황 그리고 한반도

이용수 120

영문명
Tenno and the Korean Peninsula: Criticizing Wada Haruki’s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ism of Pacifism in Postwar Japan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 향(Kim, Ha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9집, 29~5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와다 하루키(和田春樹)의 한반도 연구와 전후 일본 평화주의론 사이의 내적 연관을 비판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주된 논점으로 삼는다. 와다는 1950년대 다케우치 요시미(竹内好)와 이시모타 쇼(石母田正)의 영향 아래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에 대한 비판적 자기성찰을 전후 일본 재생을 위한 시금석이라 간주했다. 그리고 이런 관점 속에서 연구자로서의 자기 관점을 확립해나간다. 근대 러시아 사회경제사를 주전공으로 삼아 학계에 자리 잡은 와다는 1970년대 유신정권 하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면서 한반도 문제를 논하기 시작한다. 특히 김대중 납치사건과 뒤이은 반독재 투쟁 및 12․12 쿠데타와 5․18 광주 민주항쟁에 이르는 한국의 정세는 와다로 하여금 단순한 운동차원이 아니라 비판적 연구대상으로서 한반도를 자리매김 하게끔 했다. 이후 와다는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전쟁과 북한 연구에 착수하여 냉전붕괴라는 정세 하에서 새로이 등장한 한반도 연구의 세계적 패러다임 속에서 굵직한 연구를 제시한다. 이러한 와다의 한반도 연구를 지탱하던 기본 관점은 1950년대부터 견지해온 탈식민과 침략비판이라는 관점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의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공방 속에서 와다는 스스로의 두 가지 원칙에서 멀어지게 된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 일본 내에서 개헌이 현실화되자 전후 평화주의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며 호헌의 입장을 취하게 되는데, 이 때 일본의 전후 평화주의가 쇼와 천황 히로히토와 현재의 천황 아키히토로부터 비롯된 것이라는 논점을 취하면서 뿌리깊은 보수주의적 문화관으로 관점을 이동시킨다. 이는 탈식민과 침략비판이라는 원칙과 한반도 연구에서 동아시아론에 이르는 자기 언설을 동시에 뒤집는 귀결로 이어진다. 이런 와다의 입장변경은 결국 메이지 유신 이래 꾸준히 존속해온 뿌리 깊은 문화적 보수주의의 발로로 평가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Wada Haruki’s recent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ism of pacifism in postwar Japan. In 2015, Wada Haruki, one of the world’s most eminent scholars in Russo-studies and North Korean studies, published a book in which he reconsidered the constitutionalism of pacifism in postwar Japan. According to the book, pacifism stemmed from a combination of the very natural feelings of Japanese people, intellectuals’ efforts to establish postwar democracy and non-militarism, and the emperor’s solid decision to practice pacifism. This evaluation, however, contradicts the principle he had set for his academic work. Since the 1950s, he had decided to be an academic who would never cease to criticize Japan as a nation-state and would never stray from reflection and criticism of the country’s own responsibility for colonial rule and aggressive war. Thus, he had tried to explore the history of the Korean war or the possibility of founding a kind of communal society in East Asia. It was his principle as a scholar and a Japanese citizen that Japan could not be a nation-state without self-reflection and criticism. Therefore, his evaluation of the constitutionalism of pacifism in postwar Japan represents a kind of self-betrayal, since Tenno as the symbol of national integration is regarded as a corner stone of pacifism. If this is true, then his antagonistic criticism of the emperor who did not accept his responsibility for the aggressive war vanishes. On that basis,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Haruki’s recent discourse on pacifism in postwar Japan in the context of his entire body of academic works.

목차

1. 문제의 소재
2. 한반도에 대한 시선과 동아시아 담론
3. 전후 일본의 평화주의: 식민주의와 보편주의의 착종
4. 제자리걸음의 역사를 움직이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 향(Kim, Hang). (2017).평화, 천황 그리고 한반도. 동방학지, 179 , 29-56

MLA

김 향(Kim, Hang). "평화, 천황 그리고 한반도." 동방학지, 179.(2017): 29-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