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담뱃갑 경고의 생생함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정서와 인지적 반응의 매개효과

이용수 363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Vividness of Cigarette Package Warnings on Smokers’ Intention to Quit Smoking: The Mediating Roles of Fear, Disgust, and Cognitive Responses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김주현(Kim, Joohyun) 박준호(Park, Junho) 박준우(Park, Joon Woo) 전승우(Chun, Seungwoo)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20권 제3호, 77~9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담뱃갑 경고의 생생함(vividness)이 흡연자의 공포와 혐오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공포와 혐오가 흡연자의 인지적 반응(cognitive response)에 미치는 영향을 처음으로 실증하였다. 그리고 경고에 대한 지지주장과 반박주장으로 구분된 인지적 주장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더불어 경고 효과에 대한 정서와 인지적 반응의 이중매개 효과를 실증하였다. 이를 위해 20-30대 흡연자 312명(남성: 153명, 여성: 15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실시하여, 이들에게 생생함이 차이가 나는 3개의 담뱃갑 이미지 가운데 하나를 무작위로 노출하였다. 실험 결과, 경고의 시각적 생생함은 공포와 혐오 정서를 모두 증가시켰고, 공포는 지지주장과 긍정적으로, 반박주장과는 부정적으로 연관되었다. 혐오의 경우, 지지주장과의 연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반박주장과는 긍정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자의 지지주장이 증가할수록, 반박주 장이 감소할수록 금연의도는 상승하였다. 또한 혐오 → 지지주장을 포함한 경로를 제외하면 부정적 정서와 인지적 반응이 경고그림 효과를 이중매개 하는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공포가 흡연자의 금연 권고 수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반면 혐오는 흡연자의 금연 권고 수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vividness of cigarette package warnings influenced on smokers perceived fear and disgust and tested for the first time how the negative emotions were related to smokers cognitive responses to the warning. It also analyzed how cognitive responses, categorized into support arguments or counterarguments, influenced on smokers intentions to quit smoking. In addition, this study tested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emotions and cognitive responses on the warning labels’ effects.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312 smokers in 20-30s (male 153, female 159)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images of cigarette package warnings with different levels of vividness.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vividness of cigarette package warnings increased both of perceived fear and disgust and fear was positively related to support arguments and negatively to counterarguments.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gust and support arguments was not significant, disgust was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counterarguments. The more support arguments and the less counterarguments smokers generated, the more intention to quit smoking they ha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ve responses acted as doublemediators on cigarette package warnings’ effects except the path including from disgust to support arguments. The results imply that fear play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smokers intention to quit smoking but disgust negatively functions in persuading smokers to quit smoking.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종합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현(Kim, Joohyun),박준호(Park, Junho),박준우(Park, Joon Woo),전승우(Chun, Seungwoo). (2017).담뱃갑 경고의 생생함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정서와 인지적 반응의 매개효과. 소비문화연구, 20 (3), 77-95

MLA

김주현(Kim, Joohyun),박준호(Park, Junho),박준우(Park, Joon Woo),전승우(Chun, Seungwoo). "담뱃갑 경고의 생생함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정서와 인지적 반응의 매개효과." 소비문화연구, 20.3(2017): 7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