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폭력가해자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기대와 의미구성:

이용수 508

영문명
Batterers as Fathers: Battered Women’s Expectations and Conflicts on Fathering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김효정(Kim, Hyojung) 박언주(Park, Eonju)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9집 3호, 36~76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모자가족의 아버지부재를 문제 삼고 아버지 역할을 강조하며 양부모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자녀의 복리라는 인식이 존재하는 맥락에서, 가해자와의 분리 과정 혹은 분리 이후에 가정폭력피해여성이 어떻게 가해자의 아버지 역할에 대해 인식하고, 어떠한 모순과 갈등을 경험하며, 어떻게 대처하고 협상하는가에 답하기 위한 것이다. 16명의 피해여 성들의 심층면접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해자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피해여성들의 기대는 부계혈연을 중시하는 가족관계와 가족 내 성별 역할 규범, 그리고 정상가족 이상에 기반한 아버지 역할을 수용하며 구성되고 있었다. 그러나 자녀에게 ‘좋은 아버지’가 되어주기를 바라는 피해여성들의 기대는 가정폭력이 자녀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가시화되면서 좌절되고, 가해자가 수행하는 아버지노릇과 분리되지 않는 가정폭력의 맥락이 드러난다. 피해여성들은 자녀의 아버지와 가정폭력 가해자의 위치를 분리시킴으로써 부모로서 자녀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아버지와의 관계에 대한 자녀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폭력적 상황이 변화될 가능성을 남겨두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폭력가해자의 아버지 역할에 관한 학술적 논의를 확장 하고, 가해자의 아버지노릇 수행에 관한 사회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탈 폭력의 맥락에서 피해여성과 자녀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부모노릇의 수행을 독려하고 그 의미에 질문하는 다양한 사회적 방안의 모색은 피해여성들에게는 자녀로 인해 가정폭력 상황에서의 탈출을 주저하지 않게 하고, 가해자에게는 자녀를 무기로 피해여성을 조종하려는 시도가 정당화될 수 없음을 깨닫게 하면서, 자녀의 안전과 복리를 도모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도이다.

영문 초록

Given prevalent ideas of co-parenting that imply that children should be able to maintain contact with a non-resident parent, usually the fath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battered women perceive fathering by men who batt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teen battered women who have at least one child under 18 years of age at the time of abuse. Analyzing data using narrative inquiry, this study found that women’s expectations of fathering by men who batter are situated in the context of the ideology of the normal family that emphasizes the role of fathers as economic providers and masculine ideals within intact families. Yet the contradictory connection between a perpetrator of domestic violence and a caregiver for children created tensions, and these tensions became clearer as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 batterers’ fathering on children emerged. By separating the perception of fathers as caregivers from perpetrators, battered women respect children’s opinions and feelings about their father and leave the possibility for batterers to be a good fa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목차

Ⅰ.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정(Kim, Hyojung),박언주(Park, Eonju). (2017).가정폭력가해자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기대와 의미구성:. 가족과 문화, 29 (3), 36-76

MLA

김효정(Kim, Hyojung),박언주(Park, Eonju). "가정폭력가해자의 아버지 역할에 대한 기대와 의미구성:." 가족과 문화, 29.3(2017): 36-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