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한의 중생대 광화유체의 기원과 진화특성:

이용수 50

영문명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Mesozoic Ore-forming Fluids in South Korea: Their Genetic Implications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최선규(Seon-Gyu Choi) 박상준(Sang Joon Pak)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40권 5호, 517~53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생대부터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열수계는 쥐라기/전기 백악기 (약 200~130 Ma) 심부지질환경과 관련된 조산대형 열수계와 후기 백악기/제3기 (약 110~45 Ma) 천부지질환경의 후조산대형 열수계로 구분된다. 이러한 열수계에 수반된 금속광화작용은 시ㆍ공간적 관점에서 조산대형 및 후조산대형 화성활동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각 유형광화유체의 δ18OH2O는 쥐라기 조산대형 광상에 비하여 후기 백악기 후조산대형 광상에서 현저한 조성변화를 보이고 있다. 즉, 조산대형 광상은 경기·영남 육괴에 배태되며, 심부 지질조건에서 균질한 18O-부화된 고온성 광화유체로부터 진화된 열수충진형 금광상과 희유금속 광상으로 인접한 대보화강암체 또는 분화된 페그마타이트로부터 유입된 마그마수 또는 일부 변성수로부터 유도되었다. 반면에 후기 백악기 광상은 태백산분지, 옥천 지향사대 및 경상분지의 전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산출되며, 철합금, 비철금속 및 귀금속 광상의 열수충진형, 열수교대형, 각력 파이프형, 반암형, 스카른형 광상과 같은 다양한 광상유형으로 배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광화유체는 물-암석 반응에 따라 산소 동위원소비(δ18O)가 폭 넓게 변화하는 산소 편이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이는 반면 수소 동위원소비(δDH2O)는 비교적 균질한 조성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근지성 유형 광상의 산소 동위원소비는 부화된 경향을 보이지만, 점이성/원지성 유형 광상에서는 전반적으로 폭 넓게 변화하며 부분적으로 결핍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즉 근지성 유형의 Cu(-Au) 또는 Fe-Mo-W 광상에서는 탈가스화작용 이후에 나타나는 마그마수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이는 반면, 다금속 광상과 귀금속 광상은 점이성 또는 원지성 유형으로 지표수(또는 순환수)의 혼입이 우세한 경향을 보인다.

영문 초록

Two distinctive Mesozoic hydrothermal systems occurred in South Korea: the Jurassic/Early Cretaceous(ca. 200~130 Ma) deep-level ones during the Daebo orogeny and the Late Cretaceous/Tertiary(ca. 110~45 Ma) shallow hydrothermal ones during the Bulgugsa event. The Mesozoic hydrothermal system and the metallic mineraliz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document a close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hip with syn- to post-tectonic magmatism. The calculated δ18OH2O values of the ore-forming fluids from the Mesozoic metallic mineral deposits show limited range for the Jurassic ones but variable range for the Late Cretaceous ones. The orogenic mineral deposits were formed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and deep-crustal levels. The mineralizing fluids that were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theses deposits are characterized by the reasonably homogeneous and similar ranges of δ18OH2O values. This implies that the ore-forming fluids were principally derived from spatially associated Jurassic granitoids and related pegmatite. On the contrary, the Late Cretaceous ferroalloy, base-metal and precious-metal deposits in the Taebaeksan, Okcheon and Gyeongsang basins occurred as vein, replacement, breccia-pipe, porphyry-style and skarn deposits. Diverse mineralization styles represent a spatial and temporal distinction between the proximal environment of subvolcanic activity and the distal to transitional condition derived from volcanic environments. The Cu(-Au) or Fe-Mo-W deposits are proximal to a magmatic source, whereas the polymetallic or the precious-metal deposits are more distal to transitional. On the basis of the overall δ18OH2O values of various ore deposits in these areas, it can be briefed that the ore fluids show very extensive oxygen isotope exchange with country rocks, though the δDH2O values are relatively homogeneous and similarly restricted.

목차

1. 서 언
2. 지질 개요 및 화성활동
3. 중생대 금속광상
4. 중생대 열수계와 광화유체
5. 토 의
6. 결 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선규(Seon-Gyu Choi),박상준(Sang Joon Pak). (2007).남한의 중생대 광화유체의 기원과 진화특성:. 자원환경지질, 40 (5), 517-535

MLA

최선규(Seon-Gyu Choi),박상준(Sang Joon Pak). "남한의 중생대 광화유체의 기원과 진화특성:." 자원환경지질, 40.5(2007): 517-5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