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분지 시추시료에 포함된 유기물의 안정동위원소 및 생물표기화합물 특성

이용수 26

영문명
Stable Isotope and Biomarker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from the Drilling Core Sediments, Jeju Basin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정태진(Tae-Jin Cheong) 이영주(Young-Joo Lee) 김지훈(Ji-Hoon Kim) 오재호(Jae-Ho Oh) 박명호(Myongho Park) 송훈영(Hoon Young Song)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40권 5호, 623~63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분지 시추공 시료에 포함된 유기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시추 시료를 채취하여 안정동위원소 및 생물표기화합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Geobuk-1, Okdom-1, JDZ VII-1, VII-2 시추공 유기물의 탄소 및 질소 동위원소분석결과는 유기물들의 기원이 해양조류 기원보다는 육성식물 기원이 우세함을 보여준다. 또한 Geobuk-1 공에서는 2,400m를 기준으로 하여 지화학적 지시자들의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는데 이것은 2,400 m에서 유기물 기원이나 퇴적작용 혹은 퇴적환경이 급격히 변화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비투멘의 포화탄화수소 분석 결과 Geobuk-1공3,253 m, JDZ VII-1공 2,509, 2,833 그리고 3,163 m 구간의 시료에서는 이동된 석유의 흔적을 나타내지만 이것은 기원 유기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생물표기화합물에 의하면 Geobuk-1공 3,253 m 구간의 시료를 제외하면 분석된 Okdom-1, Geobuk-1 시추공 시료는 열적으로 미성숙 상태이고, 해성 기원 유기물의 영향을 약간 받기는 하였으나 대체로 하-호성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JDZ VII-1 시추공 시료는 대부분 Geobuk-1, Okdom-1 시추공 시료보다 육성 환경이 우세한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Stable isotope and biomarker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the organic sediments from the exploratory wells in the Jeju Basi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Organic matter in Geobuk-1, Okdom-1, JDZ VII-1 and VII-2 well is predominantly originated from land plants rather than marine algae according to carbon (δ13Corg) and nitrogen (δ15Norg) isotopic compositions. In the Geobuk-1, ge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arbon(δ13Corg), nitrogen (δ15Norg) and TOC contents are obviously changed by the depth 2,400 m, which is likely due to the change of origin of organic matter, sedimentary process or sedimentary environments. Analysis of the saturated fraction of the bitumen suggests the contribution of migrated oil to the indigenous bitumen from the samples 2,509, 2,833 and 3,163 m of the JDZ VII-1 and 3,253 m of the Geobuk-1 well. However, this characteristics can be derived from the contribution of the original organic matter. Based on the biomarker analysis, the samples from the Okdom-1 and Geobuk-1 appear to represent sedimentary organic matter of similar composition, that is relatively immature, and which was probably deposited in the fluvio-deltaic setting with minor offshore marine influence. The samples from JDZ VII-1 appear to have been deposited in a more terrestrially dominated setting.

목차

1. 서 론
2. 지질개요
3. 연구 방법
4.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5. 생물표기화합물
6. 토 의
7.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태진(Tae-Jin Cheong),이영주(Young-Joo Lee),김지훈(Ji-Hoon Kim),오재호(Jae-Ho Oh),박명호(Myongho Park),송훈영(Hoon Young Song). (2007).제주분지 시추시료에 포함된 유기물의 안정동위원소 및 생물표기화합물 특성. 자원환경지질, 40 (5), 623-633

MLA

정태진(Tae-Jin Cheong),이영주(Young-Joo Lee),김지훈(Ji-Hoon Kim),오재호(Jae-Ho Oh),박명호(Myongho Park),송훈영(Hoon Young Song). "제주분지 시추시료에 포함된 유기물의 안정동위원소 및 생물표기화합물 특성." 자원환경지질, 40.5(2007): 623-6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