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처첩 가족사에 나타난 남성의 욕망과 근대가족 : <창평일기(1969-1994)>를 중심으로

이용수 274

영문명
Man’s Desire and Modern Family on Concubine Family History :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이순미(Lee, Soonmi)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9집 2호, 40~69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근대화 시기에 처첩을 두었던 최00의 일기(󰡔창평일기(1969-1994)󰡕를 통해 근대가족 이념이 남성의 이중적인 욕망의 승인에 어떻게 관계되는가를 분석하였다. 최00의 일기에서 축첩현상은 일부일처법률혼이 규범적 모델로 온전히 작용하지 못하던 시기에, 남성 개인의 일탈적 욕망의 행위가 아니라 가부장의 권위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구성되었다. 이는 한국의 근대가족이 부부 애정과 평등주의보다는 부부간 위계질서와 세대관계를 중심축으로 하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위계적 부부관계의 강조는 오히려 가족 경계 내에서 첩, 간통, 외도 등의 불륜적 결합을 양산함으로써 근대가족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최00이 표방한 ‘강력한 가부장권’은 내용적으로는 경제적 부양능력, 수단적으로는 폭력과 권위의 행사에 집중된 것이었는데, 이는 자본주의적 개발 국가에 적합한 강인한 남성주체를 만들고자 한 개발독재의 국민만들기에 철저히 부합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경제적 부양능력이 가부장의 권위와 등치되면서 축첩이라는 도덕적 무능력, 폭력에의 의지라는 소통능력의 부재, 목표-근면 성실-성취의 개발주의 서사 하에서 자녀들을 타자화하는 것은 가부장과 남성다움의 결격사유가 아니었다. 이러한 비반성적이고 반성찰적인 최00의 가부장 서사는 개발주체가 되기 위한 남성간의 동맹과 의리, 타자인 여성을 더욱 타자화하는 남성성 과잉분출이라는 창평리 마을남성들의 섹슈얼 리티 구조와 긴밀히 연계되어 있었다. 창평리의 수많은 성범죄는 이런 방식의 가부장과 개발주의 공모 하에서 처벌되지 않고 묵인됨으로써 개발주의의 헤게모니 남성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modern family ideology allowed men’s double-sided desire, based on written by Choi, Naewoo, who had wife and concubine during the modern period of Korea. Concubinage in Changpyeon Diary was the realization of power of patriarchy rather than a man’s deviant desire, at a time when a monogamy did not work as a social norm. That is because the modern family in Korea was based on hierarchical marital relation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 not on the affection and egalitarianism. However, an emphasis on hierarchical marital relation brought about concubine, adultery, cheating, and other marital infidelity, causing unstable family relation. “Strong patriarchy” advocated by Choi meant economic ability to support family members in context, but focused on exercise of violence and authority. This thoroughly coincided with development dictatorship that intended to make strong male characters suitable for a capitalist developing country. The economic ability to support family members was roughly equivalent to patriarchical power. Against this background, moral incompetence like concubinage, inability to communicate and dependence on violence, and considering children as the other under the epic of development focusing on goals, diligence and achievement were not disqualification for manliness and patriarchy. Without regret and reflection, the narrative of Choi closely related to alliance or loyalty among males who wanted to become the subject in development and sexuality structure in Changpyeong-ri, such as eruption of masculinity that made women become the other. Sexual offenses in Changpyeong-ri were committed under the connivence of patriarchy and developmentalism without any punishment, enhancing hegemonical masculinity under the developmentalism.

목차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한국 근대가족의 이념과 균열: 성별정체성과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Ⅲ. 연구자료 개관 2) : 창평일기 저자 최00의 인물됨과 가족사
Ⅳ. 창평일기의 처첩 가족사에 나타난 근대 가족의 균열과 봉합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순미(Lee, Soonmi). (2017).처첩 가족사에 나타난 남성의 욕망과 근대가족 : <창평일기(1969-1994)>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9 (2), 40-69

MLA

이순미(Lee, Soonmi). "처첩 가족사에 나타난 남성의 욕망과 근대가족 : <창평일기(1969-1994)>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9.2(2017): 40-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