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뮤지컬 <헤드윅>의 극텍스트 공간 연구

이용수 779

영문명
A study of the musical Hedwig and the Angry Inch s drama text space Focused on the theory of Ubersfeld s semiotics and Jung s analytical psychology
발행기관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저자명
송한샘(Han-saem Song)
간행물 정보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2권 1호, 9~4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헤드윅>은 한국 최고의 흥행 라이선스 뮤지컬 중 하나이다. 1998년 뉴욕 오프브로드웨이 초연 이래 지금까지 전 세계 수십 개 국에서 공연되어오고 있는 <헤드윅>(원제: Hedwig and the Angry Inch)은 주인공 ‘헤드윅’ 역의 배우 한 명과 한 명의 코러스 ‘이츠학’, 그리고 펑크 록 밴드 ‘디앵그리인치’가 극 전체를 이끌어 가는 ‘원 맨 스탠드 업’ 형식의 콘서트 뮤지컬이다. 2014년 개막한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은 토니상 4개 부문 수상 등 주요 뮤지컬 상을 석권하며 브로드웨이에서도 위용을 과시했다. <헤드윅>의 한국어 공연은 2005년 서울 초연 이래 2016년까지 총 11년간 열 번의 시즌을 거치며 매 공연 대중과 평단의 찬사를 받아왔다. 특히 원작자인 존 카메론 미첼은 미국의 유력 주간지 엘에이 위클리와의 인터뷰에서 “서울에서의 엄청난 성공을 목도한 뒤 브로드웨이 프로덕션의 꿈을 꾸기 시작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한국의 <헤드윅>이 원작자에게 마저 영감을 주었을 만큼 흥행성과 작품성의 측면에서 모두 의미 있는 성과를 이루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전 세계를 통틀어 <헤드윅>의 무대에서는 화려한 세트 전환이나 대규모 출연진의 역동적인 장면을 찾기 힘들다. 하지만 <헤드윅>은 단조롭거나 지루하지 않다. 그것은 들려주기(Diegesis)와 극적 재현 방식(Mimesis)을 넘나드는 헤드윅 특유의 재담과 연기가 시종일관 관객을 흡인하며, 이 두 방식이 교차될 때마다 그 한 켜 아래에서 극 공간 역시 다양하면서도 입체적으로 신속하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위베르스펠드에 의하면 무대 공간은 기본적으로 모태의 자격을 지닌 텍스트 공간을 전제로 한다. 텍스트 공간이란 “무대에서 형체로 나타났건 그렇지 않건 간에, 텍스트에 의해 환기되고 텍스트를 통해서 구축된 모든 상상적 공간을 지칭한다.” 이에 본고는 <헤드윅>의 흥행성과 작품성이 무엇보다 원작 텍스트의 힘에 기대고 있으며, 작품의 가장 큰 특성이 극텍스트 공간의 심미성과 다의성이라고 보고 위베르스펠드의 기호학과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그 대표적인 양태를 ‘신화적 공간의 극적 알레고리’, ‘이원적 공간의 서사 충동’, ‘심리적 공간의 자기실현 과정’의 세 유형으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 <헤드윅>의 극텍스트는 신화적 공간을 구축하여 관객의 상상과 무의식의 지평을 넓혀주어 ‘불신의 자발적 중단’을 추동하는 한편, 신화적 공간은 그 자체로 극 공간에 대한 알레고리로서 기능한다. 이 공간에서 ‘헤드윅의 잃어버린 반쪽을 찾는 여정’이라는 극의 목적이 처음 구축되기 때문이다. 둘째, <헤드윅>의 극텍스트 공간은 현동적 공간과 잠재적 공간으로 이원화하고, 현동적 공간은 다시 ‘결핍 공간’과 ‘특권 공간’으로, 잠재적 공간은 다시 ‘특권 공간’과 ‘초월적 공간’으로 이원화된다. 이 공간들은 그 의미 영역들 사이의 대립과 갈등 그리고 해소라는 변증법적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서사를 충동한다. 셋째, <헤드윅>의 극텍스트는 주인공 ‘헤드윅’의 마음 구조 그 자체이며 작품의 서사는 헤드윅이라는 ‘자아’가 무의식으로의 여행을 통해 무의식원형인 ‘자기’를 발견하는 이야기이다. 텍스트의 인물들은 마음의 구조의 각 요소에 상응하는 한편, 텍스트의 각 공간을 점유하는 의식·무의식 층위의 콤플렉스들은 문자적·비문자적 기호를 통해 텍스트 공간에 종합적으로 도상화되어 수신자들의 내면에 보다 다층적인 공간 심상을 불러일으킨다. <헤드윅>의 극텍스트가 생성하는 공간들의 다의성과 심미성은 작품의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하고, 자칫 단조로운 느낌을 줄 수 있는 단일 세트 무대의 단점을 보완할 뿐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장점으로 승화하며 독특한 미학적 효과를 창출한다. 본 연구는 <헤드윅>의 현재적 가치는 물론 향후 한국에서 창작될 뮤지컬에서의 텍스트 공간 미학에 대한 가능성을 환기하였다는 데에 그 나름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musical Hedwig and the Angry Inch is one of the best box office hit licensed musicals in South Korea. Since it s Off-Broadway debut of 1998, it has been mounted in dozens of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Hedwig and the Angry Inch is one-man stand up comedy , which presents one male lead of Hedwig and one chorus, and a punk rock band called The angry Inch . The 2014 s Broadway production of Hedwig and the Angry Inch won several Tony Awards, including Best Revival of a Musical, Best Lead Actor in a Musical, Best Featured Actress in a Musical, and Best Lighting Design of a Musical. Since it s first production of Korean language production in 2005, Hedwig and the Angry Inch has been remounted 10 times, which has received a lot of praise from both critics and audience. Specially at the interview with L.A. Weekly, one of the authors John Cameron Mitchell said that after staging Hedwig and the Angry Inch tens of thousands of screaming fans in Seoul, they had begun wondering about the possibility of Broadway revival, which underpins that Korean production s box office record and the quality of work inspired the authors and the original creators. Commonly there hardly ever are fancy set changes and dynamic mob scenes in this musical. Nevertheless, it is not monotonous and boring. That s because as Hedwig uniquely hovers between Diegesis and Mimesis, simultaneously the drama space also tridimensionally and expeditiously changes, which keeps absorbing and attracting audience. In accordance with Ubersfeld, theatrical space is basically on the assumption of the text space which acquires the matrix. Whether or not it appears on the stage as figure, text space refers to the all imaginative spaces summoned and built through the text. This disquisition assumes that Hedwig and the Angry Inch s huge success is mainly attributed to the quality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points of difference of this musical are aesthetic and polysemy of drama text space.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Ubersfeld s semiotics and Jung s analytical psychology, this paper analyze the aspect of reappearance of drama text space into three categories; dramatic allegory of mythic space , narrative impulse of dualistic space , self-realization process of psychological space . In the first, Hedwig and the Angry Inch s drama text builds mythic space, through which drives the audience into willing suspension of disbelief , and this mythic space itself fulfills a function of allegory on the drama space. Because this is where the object of the drama-Hedwig s journey to find its lost half-is firstly built up. Secondly, Hedwig and the Angry Inch s dama text space is dualized into current space and latent space. And again the current space is dualized into deflict space and prerogative space , latent space is dualized into prerogative space and transcendental space . Through the dialectical interplays composed of opposition, conflict and settlement between those meaning territories, these spaces incessantly drive the narrative. In the third, the drama text of this musical is the structure itself of Hedwig s mind. The narrative is about the story of the ego called Hedwig s finding its self -unconsciousness archetype- through the journey into unconsciousness. The characters of text correspond to each factors of the structure of Hedwig s mind. At the same time, the complexes of the layers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reappear on the text space as literal and non-literal symbols, which arouse more multilayered space images in receiver s inner side. This study tries to awake the present value of the musical Hedwig and the Angry Inch and the potentiality of text space esthetics in future new musicals in Korea. Hope a follow-up study will match the result of this paper to the aspect of reappearance of the musical Hedwig and the Angry Inch and capture text space esthetics extension to stage space.

목차

1. 서론
2. 신화적 공간의 극적 알레고리
3. 이원적 공간의 서사 충동
4. 심리적 공간의 자기실현 과정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한샘(Han-saem Song). (2017).뮤지컬 <헤드윅>의 극텍스트 공간 연구.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12 (1), 9-40

MLA

송한샘(Han-saem Song). "뮤지컬 <헤드윅>의 극텍스트 공간 연구."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12.1(2017): 9-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