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학 교육의 전통론과 문화정체성 교육

이용수 371

영문명
Traditionalism in Literature Education and Cultural Identity Education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권대광(Kwon Dae Kwang)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68집, 9~3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고전 문학 교육에 있어 기존 전통론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고, 기존 전통론의 지위를 문화정체성 교육으로 이양해야 하는 것을 논하는 시론이다. 고전문학은 전통론에 내재한 역사적 계속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 때문에 문학 교육에서 전통론의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전통론은 현대사회의 문화적 다원주의로부터 도전 받고 있다. 기존의 전통론은 정치적 헤게모니에 종속되어 있었다. 또 단일 민족의 민족문학으로서 한국문학을 보는 입장에서 전통의 본질적 요소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에 드러났다. 하지만 이는 6차 교육과정부터 변화를 겪기 시작한다. 6차 교육과정의 전통론은 그 목표에서는 본질주의로부터 탈피를 꾀하지만, 전통론의 내용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법과 내용을 벗어나지 못했다. 7차 교육과정 이후 교과서 속 전통론의 특징은 ‘불명확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존의 본질주의적인 입장이 고수되고 있으면서도, 그 내용요소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론에 대한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전통론이 문학 교육에 대한 사회적 과제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본질주의적 전통론에 대한 대안적 관점으로 문화정체성 교육을 제안했다. 문화정체성 교육은 본질주의가 갖고 있던 구조주의적 방법론에서 벗어난 논의다. 또 하향적인 성격의 문화정체성 논의에서 벗어나 문화적 공동체 안에서 전통에 대해 논의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협의적 성격의 전통론을 제안한다. 문화정체성 교육에서는 학습자와 텍스트 사이의 차이가 강조되며, 차이의 확인과 이해 그리고 사회적인 협의 자체가 학습 목표 그 자체가 될 수 있다. 이는 텍스트에 대한 주체의 이질성 확인, 문학적 전통에 대한 협의적 논의, 텍스트에 대한 의미 부여의 과정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oints out the limits of existing traditionalism in classical literary education.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traditionalism as cultural identity education in literary education. Classical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inuity inherent in traditionalism, and therefore it is responsible for a large part of traditionalism in literary education. Today, the traditionalism is challenged by the cultural pluralism of modern society. The existing traditionalism was subordinate to political hegemony of nationalism. It was also presented the essential elements of tradition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However, it is beginning to change from the 6th curriculum period. While the traditionalism in the 6th curriculum intends to emerge from the essentialism at its goal,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existing methods and contents of the contents of the traditionalism. After the 7th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ism in textbooks seems uncertainly. It appeals reserved position on the traditionalism that it doesn’t present the essential element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essentialist position. This features make traditionalism in literature education not respond to the social agenda of literary education. Therefore, cultural identity education wa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on essentialism. Cultural identity education deviates from the structural method of essentialism. It suggests the consultative traditionalism rather than established downward traditionalism. Cultural identity education emphasizes egoistic recognition through reflective recognition through the acts of literature reading.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 and the text is highlighte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heterogeneity, and social consultation themselves can be the learning goal of traditionalism.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의 전통론
Ⅲ. 문화정체성 교육의 가능성과 그 방향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대광(Kwon Dae Kwang). (2017).문학 교육의 전통론과 문화정체성 교육. 교육연구, 68 , 9-32

MLA

권대광(Kwon Dae Kwang). "문학 교육의 전통론과 문화정체성 교육." 교육연구, 68.(2017): 9-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