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서비스질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연구

이용수 486

영문명
A Study 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givers’ job characteristics and service quality
발행기관
K-콘텐츠학회(구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저자명
김길옥(Kim Kil Ok) 윤천성(Youn Chun Sung)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리더십연구』3권 2호, 25~5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가의 중요한 정책으로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역인 요양보호사의 긍정적인 심리는 개인의 목표나 사회적 목표에도 부합된다고 보고 요양보호사들의 긍정적 심리에 따른 행동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이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검토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들의 현재 직무특성이 서비스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둘째, 요양보호사들의 직무특성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을 파악하고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 자본을 매개로 서비스 질을 향상할 수 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의 하위요소인 다양성과 자율성, 공적인 업무에 대한 중요성, 피드백, 역할 모호성, 감정조절에 매개변수인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협의로는 요양보호사의 잦은 이직률을 줄이고 서비스 질을 높이는 교육의 자료가 될 것이며 광의로는 요양보호사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확보하여 국가가 노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적 서비스전달체계의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ositive psychology of caregivers, which is the leading role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which is implemented as an important policy of the nation, is consistent with the goal of the individual s social goal.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behavior of the care givers . Therefore, the followings were reviewed. First, the effects of present job characteristics of care givers on their service quality were reviewed. Second,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of job characteristic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ervice quality were reviewed. Third, whether service quality can be enhanced us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a medium was reviewed. In the study, it was found that diversity, autonomy, importance on public business, feedback,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de significant effects on sub 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such as role ambiguity and emotion adjustment. Therefore, the mediating variabl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significant effects on service quality. This study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to reduce turnover rate of care givers and improve service quality in narrow meaning and it will be sued basic materials to secure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of care givers and positively develop public service delivery system to solve issues related to aged people.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연구결과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길옥(Kim Kil Ok),윤천성(Youn Chun Sung). (2016).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서비스질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연구. 평생교육리더십연구, 3 (2), 25-51

MLA

김길옥(Kim Kil Ok),윤천성(Youn Chun Sung).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서비스질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연구." 평생교육리더십연구, 3.2(2016): 25-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