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nsonant Frequency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ojeols in Spontaneous Speech Samples from 18- to 30-Month-Old Korean Children

이용수 125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Seunghee Haa(하승희) Minkyeong Pib(피민경)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4, 567~57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18-30개월 한국 아동의 자발화를 수집하여 자음 유형별 산출 빈도와 어절의 첫소리 특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생후 18-24개월과 25-30개월 아동 각각 20명으로부터 자발화를 수집하였다. 총 11,258개의 어절로 구성된 5,622개의 자발화를 음성 전사하여 두 연령 집단 간 자음 산출 빈도, 자음 유형별 산출 비율, 어절의 첫 말소리 유형과 자음정확도를 구하였다. 결과: 전체 아동의 상위 고빈도 5개 자음은 /ㄱ, ㄴ, ㅁ, ㄷ, ㅇ/ 순으로 나타났다. 조음위치별 자음 산출 비율은 치경음이 가장 높았으며, 조음위치별 자음 산출 비율은 모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조음방법별로는 전체 아동에게서 폐쇄음의 산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25-30개월 아동은 18-24개월 아동에 비해 유음의 산출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폐쇄음의 산출 비율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전체 아동은 장애음 61.65%, 공명음 38.35%의 산출 비율을 보였다. 장애음으로 시작하는 어절 비율이 44.59%, 공명음으로 시작하는 어절 비율이 55.41%로 어절 첫 말소리 유형은 장애음보다 공명음이 많았다. 어절 첫 자음 정확도는 18-24개월 아동은 77.65%, 25-30개월 아동은 88.46%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는 말소리장애 아동 중재 시 목표 음소를 선정하고, 아동이 특정 음소가 들어간 어휘를 선호하거나 기피하는지 판단하는데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requency of consonants and the phonemic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position of eojeols in spontaneous speech samples from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 18 to 30 months. Methods: Twenty children age 18 to 24 months and 20 children age 25 to 30 months participated in the study. Spontaneou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while children interacted with their parents and an examiner and were phonetically transcribed. The speech samples consisted of 5,622 utterances and 11,258 eojeols, from which consonants frequencies, frequency ratios by consonants types, consonant types of the initial position of eojeols, and articulation accuracy of the initial consonants were obtained. Results: /k, n, m, t, ŋ/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rates. Alveolar sounds by articulation places and plosive sounds by manner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rates. The 18- to 24-month-old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losive sounds and lower rate of liquid sounds than the 25- to 30-month-old children. The frequency rates of obstruents and sonorants were 61.65% and 38.35%, respectively, for both age groups. The rates of eojeols beginning with obstruents and sonorants were 44.59% and 55.41%, respectively, in both age groups.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in the initial consonants of eojeo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25- to 30-month-old children (88.46%) than 18- to 24-month-old children (77.65%).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choosing target phonemes of speech therapy and in assessing whether children select or avoid word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ir phonological develop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eunghee Haa(하승희),Minkyeong Pib(피민경). (2016).Consonant Frequency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ojeols in Spontaneous Speech Samples from 18- to 30-Month-Old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 (4), 567-579

MLA

Seunghee Haa(하승희),Minkyeong Pib(피민경). "Consonant Frequency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ojeols in Spontaneous Speech Samples from 18- to 30-Month-Old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4(2016): 567-5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