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이용수 441

영문명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in the Link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지성호(Ji Sung Ho) Lan Lan Kong 강영순(Kang Young Soon)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23권 제4호, 55~8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종사자인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사회지능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의 인과관계, 사회지능의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자료는 무작위 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부산·울산지역에 소재하는 물리치료사 209명으로부터 획득하였으며, Smart PLS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사회지능은 직무수행(역할 내 수행, 역할 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지능은 직무에 대한 긍정적 평가인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에 대한 긍정적 평가 및 자신의 의해 주도되는 변화 행동에 있어 사회지능의 중요성이 규명되었다.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다중매개효과는 사회지능과 역할 내 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이 양자관계를 모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사회지능과 역할 외 수행의 관계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지능이 역할 내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직무열의와 주도적 행동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본 연구는 사회지능을 조직행동분야로 확대하여 사회지능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며, 구성원의 직무수행을 촉진하는데 있어 사회지능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oward physical therapists. In detail, we investigate both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and of social intelligence and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Furthermor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a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The total data applied in th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209 physical therapists worked in Ulsan and Pusan, and Smart PLS 3.0 was utiliz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social intelligence is a main cause which affects job performance (in-role task performance,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Furthermore, importance of social intelligence was demonstrated, because we were able to found that social intelligence facilitates positive attitude for job and proactive behavior.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in-role task performance, whereas not mediated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extra-role contextual performance. This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work engagement and proactive performance in the relations of social intelligence and in-role task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 research area in social intelligence and to adapt soci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lligence when promoting employee’s job performanc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성호(Ji Sung Ho),Lan Lan Kong,강영순(Kang Young Soon). (2016).사회지능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3 (4), 55-80

MLA

지성호(Ji Sung Ho),Lan Lan Kong,강영순(Kang Young Soon). "사회지능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3.4(2016): 55-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