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의 파트너쉽 제도

이용수 179

영문명
The Uniform Partnership Act in the United States - Focusing on implications for the study on general partnership theory in Korea -
발행기관
한국재산법학회
저자명
김태선(Kim Tae Sun)
간행물 정보
『재산법연구』財産法硏究 第33卷 第2號, 203~23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역사적으로 영미의 파트너쉽은 그 구성원인 파트너들의 단순한 집합일 뿐이라고 인식되었으며, 그 자체가 독립한 실체로 취급되지 않았다. 이러한 집합설에 입각한 관점은 1914년 통일파트너쉽법 (the Uniform Partnership Act 1914) 및 1997년 개정통일파트너쉽법(the Revised Uniform Partnership Act 1997)에 따른 법제도의 변천으로 점차 퇴색하였다. 1997년 개정통일파트너쉽법은 명시적으로 ‘파트너쉽은 파트너와는 독립된 실체이다’라고 규정함으로써 실체설을 취하였다고 평가받는다. 파트너쉽은 법인격 없는 단체이지만 독립한 실체로서 권리능력과 소송상 당사자능력을 가지며, 파트너쉽의 재산은 파트너 개인의 재산과는 구별되는 파트너쉽 고유의 재산으로 파트너쉽의 명의로 취득하고 이전할 수 있다. 1997년 개정통일파트너쉽법은 파트너들이 파트너쉽의 채무에 대해 연대하여(jointly and severally) 책임을 진다는 전통적인 법리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파트너들로 하여금 등록을 통해 유한책임 파트너쉽(limited liability partnership)으로의 전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합병제도를 두어 파트너쉽 구조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파트너쉽의 업무집행대리권에 관한 임의 등록제도를 마련하여 대리권 존부의 분쟁에 관한 입법적 해결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통일 파트너쉽 법제의 변화는 우리 민법상 조합 법리에 시사점을 준다. 민법상 조합에서도 권리능력, 소송상 당사자능력을 인정하는 것, 등기제도를 활용하여 분쟁을 예방하고 거래비용을 줄이는 방안, 합병과 유한조합과의 상호전환 등 조합의 확장과 변경을 유연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의 도입 등을 충분히 고려해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foundational unincorporated business entity statute in the U.S., the Uniform Partnership Act (1997). A partnership in common law has historically been considered to be a mere aggregate of its individual members and is not recognized as a separate legal entity. This view of the partnership has become eroded somewhat over the years through changes made by the Uniform Partnership Act (1914) and more recently, by Uniform Partnership Act (1997). The UPA (1997) declares: “A Partnership is an entity district from its partners.” A number of key sections of the UPA (1997) clearly do refect the entity approach rather than aggregate approach. A partnership is not a legal person. Nevertheless, under the UPA (1997) it is clear that a partnership is a legal entity and a juridical person. A partnership can own and convey property, and sue or be sued in the name of the partnership. The UPA (1997) continues the traditional rule that general partners are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for the obligations of the partnership, but authorized a general partnership to elect to become a limited liability partnership(LLP) by filing a registration statement in the public office. The UPA (1997) contains provisions authorizing general partnerships to merge, or convert into any other type of entity or authorizing other types of entities to merge. Another changes introduced by the UPA (1997) is provision for the public filing of statements containing basic information about a partnership, such as the agency authorities of its partners. These changes to partnership law in U.S. may have implications for the study on general partnership theory in Korea.

목차

요지
Ⅰ. 단체 관련 제도의 개요
Ⅱ. 파트너쉽 법률의 개관
Ⅲ. 파트너쉽의 소유관계
Ⅳ. 파트너쉽의 대리 또는 업무집행권
Ⅴ. 탈퇴 파트너의 지분권 인수와 파트너쉽의 해산
Ⅵ. 파트너쉽의 상호전환과 합병
Ⅶ. 미국 파트너쉽 법제의 시사점 - 결론에 갈음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선(Kim Tae Sun). (2016).미국의 파트너쉽 제도. 재산법연구, 33 (2), 203-230

MLA

김태선(Kim Tae Sun). "미국의 파트너쉽 제도." 재산법연구, 33.2(2016): 203-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