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인의 하느님 이해

이용수 277

영문명
The Korean Understanding of God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심상태 몬시뇰(Emeritus Prof. Msgr. Sangtai Shim)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No.77, 133~16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 고대 종교의 윤곽을 논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그 시점은 단군신화와 하늘의 개념과 함께 환인의 신성한 이미지에 대한분석이다. 이어, 특히 ‘천’이라는 단어가 중국 종교인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의 유입과 더불어 부상했음에 초점을 두어 하느님 개념의 변형을 살펴본다. 이 개관은 셈족 종교(유다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와 달리, 19세기 이전에 한국인들이 지니고 있던 하느님 개념에는 초월적이고 부성적인 하느님뿐만 아니라 모든 곳에 내재한 모성적인 하느님의 모습까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이야기한 본고의 중요한 논점을 수립하기 위해 정리되었다. 더군다나 단군신화의 환인이 그리스도교 믿음의 막강한 하느님인 ‘야훼’-‘엘’과 동일하다는 주장에 충분한 근거가 있다는 내용도 싣고 있다. 본고는 19세기 말 일어난 신흥종교운동에 깃든 하느님에 대한 이해, 특히 수운 최제우에 의해 일어난 동학운동(Eastern Learning)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수운은 ‘시천주’라고 부르는 하느님의 개념을 바탕으로 수립되었는데, ‘시천주’는 ‘하느님을 지니다 혹은 품다’의 직접적인 표현이다. 하느님은 ‘지기’인데, ‘지기’는 우주에 만연한 생명의 힘 혹은 에너지이자 초월적이고도 모든 곳에 내재한, 만물의 하느님이며, 하느님은 모든 인류와 사물에 깃든 패러독스다. 우리는 ‘지기’를 통해 하느님을 품으며, 이때 ‘지기’는 외적으로 증발해버리는 생명 에너지이며, 역시나 모든 인류와 사물에 깃들어 있다. 동학에서 발전되고 분석된 신성의 또 다른 핵심 개념들에는 ‘한울님’ ‘하늘님’ ‘인즉천’ ‘양천주’ 그리고 ‘인내천’이 있다. 동학의 영감은 “초월적 내재성”이라는 근본적 통찰로 이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근본적 통찰을 통해 현 시대의 순간과 부조리, 빈곤, 소외와 생태 붕괴의 문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논쟁에 따르면, 하느님에 대한 한국인의 관점은 인도주의적이기도 하고, 비인도주의적이기도 할 뿐만 아니라, 그 안에는 하느님을 생물권 내에 위치시키는 종말론적 사상도 있다. 계몽된 동학운동에 의해 생긴 기회에 충분히 보답하기 위해 독자들은 우주의 외적 관계를 주관하는 초월적 존재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와 달리, “어머니”의 은유를 통해 하느님의 모습을 상상해 보아야 하게 되었다. 여기서 “어머니”는 내재적 사랑의 정수를 단언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자아를 기피하는 유기현실을 수용한다. 논문은 지모신의 이미지는 그저 만족스러운 이미지일 뿐만 아니라, 소외의 맥락에서 구원의 진실을 추구하는 모든이들에 대한 초대이자 이 세상 구원에 대한 끊임없는 갈증이며, 하느님과 맺은 모든 유대감의 즐거운 약속이라고 한 발터 카스퍼 추기경의 말로 결론을 맺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begins with a discussion of the contours of ancient religion in Korea. The starting point is an analysis of the indigenous mythology of Dangun and the divine image of Hwanin along with the concept of Haneul. The focus then turns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God, especially noting the emergence of the word, Cheon (천: 天), which came with the arrival of the Chines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is overview is given in order to establish an important contention of this paper that the concept of God held by Koreans prior to the 19th Century embraces, in distinction to the Semitic Religions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not only a transcendent, paternal God but also a maternal God who was immanent within all things. Moreover, it is contended, there is sufficient evidence to equate Hwanin of the Dangun myth with YHWH-El and the Almighty God of Christian belief. The central concern of this paper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God which emerges within the new religious movements that appeared towards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particular focus is on the Donghak (Eastern Learning) movement founded by Choe Je-u (Su-un). Su-un, the paper contends, established a faith based on the concept of a God (Lord of Heaven) called, Si Cheonju, whom is conceived as a direct experience of “carrying or bearing God”. God is Chigi, the vital force or energy pervading the universe, which is both the transcendent and the immanent Lord of all. God is the paradox within all humans and things. We carry God through Chigi, which is, at one and the same time, externally an evaporating, vaporising vital energy, yet also immanent within all humans and things. Other key concepts of the Donghak divinity which are developed and analysed are Hanul-Nim (天主: 한울님), Haneul-Nim (하늘님), Injeukcheon (인즉천: 人卽天), Yang Cheonju (양천주: 養天主), and Innaecheon (인내천: 人乃天). The inspiration of Donghak leads to a fundamental insight ― the idea of “transcendent immanence”. Using these fundamental insights, this paper turns to examine the contemporary moment and its issues of injustice, poverty, alienation and ecological collapse. A Korean view of God, it is argued, would be not only simultaneously humanistic yet not humanistic but also promote an eschatology which places God within the ecosphere. In order to adequately appreciate the opportunity which is provided by an enlightened Donghak, the reader is challenged to re-envisage God through the metaphor of “Mother” which, unlike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a transcendent being governing the external relationships of the universe, embraces an organic reality that voluntarily eschews self in order to affirm an essence of immanent love. The essay concludes with the words of Cardinal Walter Kasper commenting on the Mother Goddess image which is not just a satisfying image but an invitation to all those who seek the truth of salvation in a context of alienation and insatiable thirst for redemption in this world, a joyful engagement with the all-encompassing fellowship of God.

목차

Ⅰ. Opening Remarks
Ⅱ. Pre-Modern Korean Concepts of God
Ⅲ. Donghak ― The Korean Understanding of God in Cheondoism
Ⅳ.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Korean Understanding of God
Ⅴ. Concluding Remark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상태 몬시뇰(Emeritus Prof. Msgr. Sangtai Shim). (2016).한국인의 하느님 이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7), 133-166

MLA

심상태 몬시뇰(Emeritus Prof. Msgr. Sangtai Shim). "한국인의 하느님 이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7(2016): 133-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