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퇴비단 여과상이 부착된 혐기소화조를 이용한 돈분뇨 슬러리 메탄생산 효율분석

이용수 23

영문명
Efficiency of methane production from pig manure slurry using anaerobic digestor combined with compost filtration bed
발행기관
유기성자원학회
저자명
정광화(Kwang-Hwa Jeong) Modabber Ahmed Khan 최동윤(Dong-Yoon Choi) 이동현(Dong-Hyun Lee)
간행물 정보
『유기물자원화』제21권 제1호, 51~59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공학 > 환경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혐기소화액을 여과함과 동시에 퇴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지닌 퇴비단 여과상과 이 퇴비단 여과상에서 발생하는 열로 외부 측벽이 가온되는 방식의 혐기소화조를 이용하여 돼지분뇨 슬러리로부터 발생하는 메탄생성 효율을 분석하였다. 혐기소화조의 형태는 약 250 m3 규모의 긴 장방형 구조로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이 혐기소화조 내에 돼지분뇨 슬러리를 투입하여 혐기 소화하는 과정에서의 메탄생성 특성을 조사하였고, 또 한편으로는 혐기소화 폐액을 처리하는 방안으로서의 퇴비단 여과상의 소화폐액 여과효과를 분석하였다. 돼지분뇨 슬러리는 본 실험 시설인 장방형 중온성 혐기소화조에서 25일 동안 소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소화폐액은 톱밥층과 왕겨층 등의 2겹의 층으로 구성된 퇴비단 여과상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퇴비단 여과상을 통과한 후의 최종 여과액을 대상으로 하여 액비로서의 이용가치를 가늠하기 위해 비료성분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혐기소화조에서 배출된 소화폐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BOD, COD, SS, T-N 그리고 T-P 의 농도는 각각 1,800 mg/L, 3,500 mg/L, 11,800 mg/L, 1,200 mg/L, 그리고 350 mg/L 수준을 나타냈다. 이 소화액을 톱밥층과 왕겨층 등의 2겹의 층으로 구성되어 여과상 역할을 하는 퇴비단 여과상에 통과시킨 후에 채취한 여과수의 BOD, COD, SS, T-N 그리고 T-P 농도는 여과상 유입수에 비해 각각 97%, 62%, 89%, 39% 그리고 57% 수준의 감소정도를 보였다. 퇴비단 여과상을 거친 후 소화폐액의 질소, 인산, 칼륨의 농도는 각각 1,024, 111 그리고 407 mg/L 수준이었다. 또한 소화폐액 내의 chlorophenol, benzenedicarboxylic acid, dodecane, hexadecane dimethyloctane 등의 유기성 오염물질은 퇴비단 여과상을 거치는 과정에서 95%이상 제거되었다.

영문 초록

The characteristics of methane production from pig manure slurry was investigated using anaerobic digestor combined with compost filtration bed. In this study, raw pig manure slurry was digested in mesophilic rectangular digester (effective volume 250 m3) for 25 days and anaerobic digestion wastewater was filtered through compost filtration bed, which is composed of double layer, sawdust and chaff. The characteristics of anaerobic digestion wastewater were BOD 1,800 mg/L, COD 3,500 mg/L, SS 11,800 mg/L, T-N 1,200 mg/L and T-P 350 mg/L. After the filtration process, the contents of BOD, COD, SS, T-N and T-P of the anaerobic digestion wastewater were reduced by 97%, 62%, 89%, 39% and 57%,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N, P2O5, and K2O of the leachate were 1,024, 111 and 407 mg/L,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odor emitted from the leachate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광화(Kwang-Hwa Jeong),Modabber Ahmed Khan,최동윤(Dong-Yoon Choi),이동현(Dong-Hyun Lee). (2013).퇴비단 여과상이 부착된 혐기소화조를 이용한 돈분뇨 슬러리 메탄생산 효율분석. 유기물자원화, 21 (1), 51-59

MLA

정광화(Kwang-Hwa Jeong),Modabber Ahmed Khan,최동윤(Dong-Yoon Choi),이동현(Dong-Hyun Lee). "퇴비단 여과상이 부착된 혐기소화조를 이용한 돈분뇨 슬러리 메탄생산 효율분석." 유기물자원화, 21.1(2013): 5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