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기도 귀농귀촌 전원주택 거주자의 이촌 의사 영향요인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85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유기은(Ki Eun Yoo) 고성수(Sung Soo Go)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23卷 第4號, 99~13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1.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구이동이론에 기초하여 귀농귀촌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이동요인 및 사회환경적 요인이 이촌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 과정에서 전원주택의 주택특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그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모형인 귀농귀촌 전원주택 거주자의 이촌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이동요인과 사회환경요인, 그리고 매개변수인 주택특성의 인과적 경로를 검증한 결과, 제안된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관련된 지수를 검토해 보면, x2=83.849(df=38, p<.001), GFI=.945, AGFI=.904, RMSEA=.069, NFI=.969, CFI=.983로 나타나 모든 적합도 지수의 값이 적정 범위 내에 포함되므로 이론적인 근거에 의한 가설적인 경로 설정은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론모형 경로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인구이동요인→주택특성의 경로(p<.05)와 둘째, 인구이동요인→이촌의사의 경로(p<.05), 셋째, 사회환경요인→주택특성의 경로(p<.001)와 넷째, 사회환경요인→이촌의사의 경로(p<.01), 그리고 다섯째, 주택특성→이촌의사의 경로(p<.05)의 5개의 경로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촌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한 결과, 매개변수인 주택특성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접효과, 간접효과 모두 인구이동요인이 이촌의사에 대한 주택특성의 매개효과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촌의사에 영향을 주는 총효과를 확인해 보면, 사회환경요인 > 인구이동요인 순으로 이촌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인구이동요인을 크게 고려할수록, 사회환경요인을 크게 고려할수록 귀농귀촌 전원주택 거주자의 이촌의사는 완화되며, 여기서 주택특성에 대한 긍정적 평가 지각을 매개로 하였을 때 이촌의사는 더욱 완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this research, two factors, domestic population movements based on migration theories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were considered as well as mediator effect of rural residence due to its specific characteristics.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closely examined. After the verification stage of the research model, we found out that the result numbers, x2=83.849(df=38, p<.001), GFI=.945, AGFI=.904, RMSEA=.069, NFI=.969, CFI=.983) were all in the error bound, thus verified as a valid route setting. If we take a close look at the paths of the research model, the first one, population movement to rural residence (p <.05), and the second one, population movement to intention of people to go back to the city after they became farmers (p<.05) and the third one, socio-environmental factor to rural residence (p<.001), the fourth one, socio-environmental factor to intention of people to go back to the city after they became farmers (p<.01) and the last one, rural residence to intention of people to go back to the city after they became farmers (p<.05) were all considered valid. Then, after we categorize each influence into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rural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ur intervening variable, showe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population movement showed the highest influence on the mediator. For the total effect on people’s decision to go back to the city, socio-environmental factor i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compare to population movement. This implies that managing these factors, population movement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will ease off newly become farmers going back to the c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기은(Ki Eun Yoo),고성수(Sung Soo Go). (2015).경기도 귀농귀촌 전원주택 거주자의 이촌 의사 영향요인의 구조적 관계. 주택연구, 23 (4), 99-131

MLA

유기은(Ki Eun Yoo),고성수(Sung Soo Go). "경기도 귀농귀촌 전원주택 거주자의 이촌 의사 영향요인의 구조적 관계." 주택연구, 23.4(2015): 99-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